연필깎기의 정석 또는 에너지 IT융합 산업 동향과 기술개발 동향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연필깎기의 정석 또는 에너지 IT융합 산업 동향과 기술개발 동향

로즈
2025-04-28 10:48 0 0

본문




연필깎기의 정석
9788998143107.jpg


도서명 : 연필깎기의 정석
저자/출판사 : 데이비드 리스, 프로파간다
쪽수 : 223쪽
출판일 : 2013-07-01
ISBN : 9788998143107
정가 : 12000

제1장 준비물
제2장 HB 연필 해부
제3장 몸풀기
제4장 주머니칼로 깎기
제5장 외날 휴대용 연필깎이로 깎기
제6장 연필 촉 보호하기
제7장 외날 회전식 연필깎이로 깎기
제8장 다구형ㆍ다단식 휴대용 연필깎이로 깎기
제9장 연필 목 베기: 대를 위해 소를 희생하는 과감한 전략
제10장 이중날 회전식 연필깎이로 깎기
제11장 샤프펜슬에 대한 짧은 소견
제12장 연필 깎기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위험 진단 및 대처법
제13장 전동 연필깎이 사용법
제14장 아이들과 함께 하는 연필 깎기
제15장 벽걸이형 회전식 연필깎이로 깎기
제16장 진기한 연필 깎기 기술
제17장 유명인처럼 연필 깎는 기술(CIPS) 마스터하기
제18장 마음으로 연필 깎기

부록:
연필 맛 와인
추천 웹사이트
연필 애호가들이 순례해야 할 성지
세인트피터즈버그 '플로리다 안과'에서 주는 유익한 조언(병원 웹사이트에서 그대로 인용)




에너지 IT융합 산업 동향과 기술개발 동향
9788966670789.jpg


도서명 : 에너지 IT융합 산업 동향과 기술개발 동향
저자/출판사 : BIR Research Group, 비아이알
쪽수 : 368쪽
출판일 : 2012-12-11
ISBN : 9788966670789
정가 : 290000

제1장 IT SW산업 동향과 IT융합 산업 최근동향
1. 국내 IT산업 성과와 향후 과제
1-1. 국내 IT산업 성과와 과제
1) 그간의 경과
(1) 지난 4년간의 평가
(2) 주요 성과
2) 미래 IT 환경변화와 우리의 현실
(1) 미래 IT 환경변화
(2) 국내 현실
3) 2020년 IT 미래비전 및 향후 과제
(1) IT융합 2단계 확산
(2) 글로벌 SW 중견기업 육성
(3) 창의적 융합인재 확충
(4) 청년창업 및 해외진출 지원
(5) 100세 시대 스마트복지 구현
(6) 교육소외계층 격차 해소
(7) 지능형 생활·재난 안전망 구축
(8) 전자정부 등 경험 공유
(9) 글로벌 콘텐츠 강국 실현
(10)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구축
4) Giga KOREA 전략
(1) 기본방향
(2) 분야별 추진과제
(3) 추진체계 및 기대효과
2. 국내 S/W 산업과 IT 서비스 시장동향
2-1. S/W 시장동향
1) 생산 및 수출동향
2) 국내 IT서비스 시장
(1) 전체 IT서비스 시장
(2) 부문별 IT서비스 시장 동향
(3) 업종별 IT서비스 시장 동향
(4) IT서비스 기업의 전자정부 사업동향
2-2. SW 분야별 시장동향
1) 패키지 SW 시장
2) 응용SW 시장 동향
(1)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2)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3) SCM(Supply Chain Management)
(4) BI(Business Intelligence)
3)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치
(1) DBMS
(2) ASSP(Application Server SW Platform)
4) 시스템 인프라 SW
(1) 스토리지 SW
(2) 보안 SW
(3) 시스템 및 네트워크 관리 SW
5) 임베디드SW 시장
(1) 국내 임베디드SW 시장 규모 및 비중
6) SW 신서비스 시장과 동향
(1) 클라우드 컴퓨팅
(2) SNS(Social Network Service)
(3) 인터넷 포털
(4) 모바일앱
(5) 세계 빅데이터 시장 동향
(6) 국내 지능형교통시스템(ITS) 시장 동향
2-3. 국내외 SW산업 정책 동향
1) 신서비스 관련 국내외 주요 정책 현황
(1)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정책 동향
(2) 빅데이터 관련 정책 동향
2) 부처별 SW 관련 정책 현황
(1) 지식경제부
(2) 행정안전부
(3) 국토해양부
(4) 방송통신위원회
3. 국내 IT융합산업 생태계 현황
3-1. IT융합 산업의 등장 배경
3-2. 10대 산업별 IT 융합시장 전망
1) 자동차
2) 조선
3) 의료
4) 섬유
5) 기계·항공
6) 건설
7) 국방
8) 에너지
9) 로봇
10) 조명
3-3. 최근의 IT융합 산업 생태계
3-4. 2차 IT융합 확산전략(2013-2017)
1) 개요
2) 추진배경
(1) 산업패러다임의 변화
(2) IT융합의 개념 및 발전방향
3) 지난 4년간의 IT융합 성과
(1) 개요
(2) 그간 IT융합정책 추진경과(’08~현재)
(3)「IT융합 확산전략」정책 방향
(4) 해외 주요국 IT융합 정책동향
4) 추진방향
5) 정책과제
(1) IT융합을 통한 주력산업 글로벌 경쟁력 제고
(2) 생활밀착형 IT융합서비스 창출
(3) IT융합 공통 인프라 확충
6) 기대효과
7) 추진체계 및 일정
(1) 추진 체계
(2) 추진 일정
4. 5대 주력산업과 5대 서비스 IT융합 동향
4-1. 5대 주력산업
1) 자동차 IT융합
2) 조선·해양플랜트 IT융합
3) 섬유 IT융합
4) 국방·항공 IT융합
5) 에너지 IT융합
4-2. 5대서비스 IT융합산업 동향
1) 먹을거리 IT융합 주요동향
2) 교육 IT융합 주요동향
3) 헬스케어 IT융합 주요동향
4) 재난·치안 IT융합 주요동향
5) 교통(ITS) IT융합 주요동향

제2장 에너지 IT융합 산업과 기술개발 동향
1. 에너지·IT융합 산업 동향과 전망
1-1. 개요
1) 최근동향
2) 배경과 필요성
1-2. 주요 핵심 기술 동향
1) 대전력 전원시스템 기술동향
(1) 대전력 전원 시스템의 고효율화
(2) 대전력 전원 시스템의 소형·경량화
(3) 대전력 전원 시스템의 고기능화
2)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기술동향
(1) 최대 전력점 추종기
(2) 충전장치 및 축전지
(3) 계통연계형 인버터
3) 무선전력 전송 기술동향
1-3. IT기반 ESCO 시범사업 및 실증시험 과제
1) 12년도 사업개요
(1) 사업목적
(2) 세부 사업(과제) 내용
(3) 지원내용
1-4. 기후변화 에너지부문 중장기 전략
1) 개요
2) 주요 내용
3) 기후변화?에너지 미래 트렌드
(1) (기후) 기온상승 가속화와 극한기상 일상화?대형화
(2) (에너지) 에너지 수급구조?연관산업 재편과 분산형 전력공급체계 확산
(3) (통일) 중장기 기후?에너지 대응여건 개선과 단기 불안요인
4) 평가와 시사점
5) 중장기 정책방향
(1) (기후) 재난 대비와 식량 수급여건 변화 대응 강화
(2) (에너지) 수요관리 중심 에너지정책 확립과 에너지산업 경쟁촉진
6) 해외 기후변화?에너지 대응동향
2.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에 따른 시장과 기술전략
2-1. 개요
1) 지능형전력망 개념
2) 지능형전력망 필요성
3)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 개요
2-2. 국내·외 스마트그리드 동향
1) 주요국 동향
2) 국내 동향
3) 시사점
2-3. 평가 및 과제
1) 그간의 추진 실적
2) 그간의 성과 평가
3) 정책 방향
2-4. 지능형전력망 비전 및 전략
1) 비전 및 전략
2) 제1차 기본계획 목표(2012~2016)
2-5. 제1차 기본계획 이행을 위한 정책과제
1) 제도개선
(1) 요금제도
(2) 수요관리
(3) 전력시장
(4) 동반성장
2) 시장창출
(1) 국내실증
(2) 해외실증
(3) 핵심기기 보급
3) 기술개발
(1) 기술개발 체계
(2) 기술개발 전략
(3) 기술개발 계획
4) 기반조성
(1) 표준 및 보안
(2) 인력양성
(3) 국제협력
(4) 산업진흥
(5) 소비자 참여
2-6. 5대 분야별 기본계획
1) 개요
2) 분야별 기본계획
(1) 지능형 송배전(Smart Power Grid)
(2) 지능형 소비자(Smart Consumer)
(3) 지능형 서비스(Smart Electricity Service)
(4) 지능형 운송(Smart Transportation)
(5) 지능형 신재생(Smart Renewables)
2-7. 투자계획 및 기대효과
1) 투자계획
2) 기대효과
3) 2012년도 시행계획
(1) 추진과제 목록
3. 2012년도 에너지정보화 및 정책지원 사업
3-1. 사업개요
3-2. 과제별 사업내용
1) 스마트그리드 거점지구 추진계획 연구
2) 스마트그리드 산업 활성화를 위한 인력양성 SCM 시스템 구축
3) 안정적 전력계통 운영을 위한 전기차 충전정보 종합관리시스템 구축
4) 스마트그리드 확산을 위한 설계 정보화 기법 도입
5) 스마트그리드 상호운용성 측정을 위한 성숙도 모델 연구
6) 스마트그리드하의 전력계통 운용 시스템 시험을 위한 시뮬레이터 구축
7) 스마트그리드 거점지구 정보기술 아키텍처 연구사업

제3장 부록[참고자료]
1. 국내 에너지 관련 통계
1-1. 에너지
1-2. 석유
1-3. 가스
1-4. 국내 전력산업 통계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