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예사를 위한 문화예술 또는 다시 고향의 맛 멋
로즈
2025-04-28 10:48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학예사를 위한 문화예술

도서명 : 학예사를 위한 문화예술
저자/출판사 : 김성래 , 김아란 , 윤병화 , 이정복 , 강정선, 예문사
쪽수 : 289쪽
출판일 : 2013-01-10
ISBN : 9788927402220
정가 : 18000
1부_ 미술
01 학예사를 위한 동양미술사
Ⅰ. 회화
Ⅱ. 조각
Ⅲ. 도자
02 학예사를 위한 중국고전과 예술론
Ⅰ. 장자(莊子)에 나타나는 예인(藝人)과 달인(達人)
Ⅱ. 열자(列子)의 달관(達觀)
Ⅲ. 산해경(山海經)의 환상세계(幻想世界)
Ⅳ.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의 철학(哲學)
Ⅴ. 학예사와 도가
03 학예사를 위한 예술론과 근대서양미술
Ⅰ. 예술론에 대한 이해
Ⅱ. 서양미술의 원류와 J. J. 빈켈만
Ⅲ. 그리스와 로마미술의 비교 : 플라톤과 플로티누스
Ⅳ. 중세미술과 시대구분
Ⅴ. 르네상스의 특성
Ⅵ. 17~18세기 미적 이상주의 : 레이놀즈
Ⅶ. 19세기 주요사조의 동시대적 대립 : 신고전주의와 근대
Ⅷ. 루이 다비드와 앵그르
Ⅸ. 인상주의 이전의 미술사조
Ⅹ. 인상주의 혁명
XI. 20세기 초의 미술이념 : 후기인상주의와 초현실주의
2부_ 전통 공예
01 우리나라 장신구
Ⅰ. 우리나라 장신구의 이해
Ⅱ. 노리개(佩飾)에 관하여
Ⅲ. 장도(粧刀)에 관하여
Ⅳ. 장신구 무형문화재에 관하여
02 우리나라 가구
Ⅰ. 가구의 기능과 개념
Ⅱ. 조선시대 가구의 특징
Ⅲ. 가구의 구성
Ⅳ. 가구의 도구
Ⅴ. 소목장
Ⅵ. 두석
3부_ 민속
01 조선시대 상여
Ⅰ. 상례의 기원과 개념
Ⅱ. 상여의 특징
Ⅲ. 상여의 종류와 장식의 변화
02 조선시대 옹기
Ⅰ. 옹기
다시 고향의 맛 멋

도서명 : 다시 고향의 맛 멋
저자/출판사 : 이재인, 멘토프레스
쪽수 : 247쪽
출판일 : 2014-05-15
ISBN : 9788993442328
정가 : 12000
제1장 광시·공주·논산·단양·대전
잃어버린 고향을 다시 찾다
광시
언제나 빛이 일렁이는 역사의 고장 ‘광시’
오탁번 시인 / 조은한우식당 / 일미식당 / 매일한우타운 / 양지정육점
공주
곰나루설화에 얽힌 ‘공주’
-우금치전투, 일제강점기 속에 빛바랜 도시
김의광 목인박물관장 / 미마지 / 새이학가든 / 예일낙지마을
논산
계백 정기 어려 있는 황산벌 ‘논산’의 또 다른 향취!
-견훤왕릉, 돈암서원, 쌍계사 칡넝쿨기둥
김인수 대령 / 노산마백숙 / 황산벌한우마을 / 웰빙밥상
단양
김홍도가 발길을 멈춘 ‘단양팔경’ 삼국의 자취어린 ‘신라적성비’
서영기 교수 / 소남백이식당 / 돌집식당 / 금수강산
대전
식장산 아래 굽어본 풍광, 대전大田은 한밭이다!
-전우치 설화, 송시열의 남간정사, 하늘길로 이어지는 한밭
리헌석(시인, 평론가) / 한철수 시인 / 연향촌 / 한밭식당 / 시인의밥상 / 진수메밀냉면
제2장 덕산·보령·부여·목포·수원
간절한 소망과 그리움, 원혼이 시가 되고 강물이 되고 노래가 되어
덕산
‘수덕사’와 ‘도중도’ ‘보부상’의 애환 담긴 ‘덕산’
김형배 목사 / 우제풍 농악인 / 신토불이묵집 / 고덕갈비 / 가루실가든
보령
서거정의 고향, 오석벼루 전통에 빛나는 ‘보령’
박주부 조각가 / 평강뜰애 / 터가든 / 辛그집쭈꾸미
부여
백제를 그리워하는 못 다한 노래 부여별곡
-국립부여박물관, 백마강, 서동요, 껍데기는 가라
박천동 목공장인 / 석가든 / 삼오식당 / 구드래돌쌈밥
목포
사공의 뱃노래가 여울지는‘목포’는 항구다
-목포근대역사관, 이난영공원, 김지하 시인의 고향
명기환 시인 / 올레길 / 쑥굴레 / 선경준치회집
수원
조선조 최고군주 정조와 최고천재 정약용의 합작품 ‘수원 화성’
-더불어 김향화, 홍사용, 소나무숲길에 대한 사색
박성현 화백 / 미락 / 부잣집밥상
제3장 안동·옥천·익산·장성·인사동
산 높고 물 맑고 계곡 깊은 곳에 아름다운 인격자가 나오기 마련이다
안동
조선선비들의 숨결, 안동
-도산서원, 이육사문학관, 하회마을을 중심으로
김연대 시인 / 안동관 / 안동찜닭전통
옥천
보고픈 마음, 호수 속에 담긴 시성 ‘옥천’
- 정지용 테마공원, 김영미 단상, 오지 장고개마을과 막지 이야기
김영미 시인 / 춘추민속관 / 마당넓은집 / 구읍할매묵집
익산
이루지 못한 꿈을 실현하려는 극락정토 ‘익산’
-마한관, 두동교회, 나바위성당
양점숙 시인 / 본향 / 흙가든허브오리
장성
인물과 학문으로 ‘장성’됐네
-필암서원, 홍길동생가, 요월정
김경란 화가 / 대명식당 / 홍길동생가 근처 꿩고기맛의 진수‘산골짜기’
인사동
인사동의 ‘귀천’과 남산기슭 한국의집, 남산한옥마을을 배회하다
송계 박영대 화백 / 김태호 소설가 / 인사동수제비 / 신창면옥 / 툇마루집 / 산촌 / 디미방
제4장 천안·청주·청양·해미·홍성
땅에서 벗과 즐기며 시와 사상, 함께하는 세상을 나누리!
천안
에루와 좋구나! 유관순, 부용의 아름다움 빛나는 덕의 고향 ‘천안’
김경희 화가 / 산둘레 / 참병천순대 / 마실
청주
활자와 소리, 예술이 여물다
-흥덕사, 손병휘, 박팔괘, 김복진
오만환 시인 / 원조올갱이 / 대한생선국수 / 도토리고을
청양
후덕한 외갓집 그늘, ‘청양’에 대한 회상
-고운식물원, 한훈 어록비, 조롱박축제
송영희 시인 / 이주형 서예가 / 박승병 수필가 / 법운스님 / 바닷물손부두집 / 명랑식당 / 별장가든 / 구 곡지천 / 칠갑산맛집
해미
순교목 회화나무와 느티나무 사이를 번민하다
-나희덕, 구연학, 박만진을 통해 본 해미
김용신 원장 / 김해본가뒷고기 / 읍성뚝배기
홍성
충절의 도시, 홍성
-최영 , 성산문 , 한용운, 김좌진의 의개가 빛나다
조환웅 향토사학자 / 예당큰집 / 소복갈비 / 일미옥불고기 / 만중이네회수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