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인성교육을 위한 토의 토론교육의 이해와 실제 또는 느리게 걸을수록 행복한 충청도 걷기여행
로즈
2025-04-28 10:48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토의 토론교육의 이해와 실제

도서명 :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토의 토론교육의 이해와 실제
저자/출판사 : 신재한 , 김현진 , 윤영식, 한국학술정보
쪽수 : 370쪽
출판일 : 2013-01-14
ISBN : 9788926840054
정가 : 29000
■ 머리말
PART 1 토의·토론학습의 기초
1. 토의·토론학습의 개념
2. 토의·토론학습의 요소
3. 토의·토론학습의 특징
4. 토의·토론학습의 원리
5. 토의·토론학습의 필요성
PART 2 토의·토론학습의 유형
1. 수업 방법의 분류에서 토의·토론수업의 위치
2. 아이디어 개발
3. 쟁점 분석
4. 지식 습득
5. 의사결정
PART 3 토의·토론학습의 방법
1. 토의·토론학습의 준비
2. 토의·토론학습의 과정
3. 토의·토론학습을 위한 기초 기능
4. 토의·토론학습의 평가 방법
5. 토의·토론학습에서의 교사 역할
PART 4 토의·토론 수업모형의 실제
1. 의사결정 토의 수업모형
2. 찬반논쟁학습 토론(Pro-Con) 수업모형
3. 돌아가며 발표하기(Round Robin) 토의 수업모형
4. 배심토론(Panel Discussion) 수업모형
5. 버즈집단토의(Buzz Session) 수업모형
6. 대립토론 수업모형
7. 포스트잇 활용 토론 수업모형
참고문헌
느리게 걸을수록 행복한 충청도 걷기여행

도서명 : 느리게 걸을수록 행복한 충청도 걷기여행
저자/출판사 : 정규찬 , 김성중, 황금시간
쪽수 : 368쪽
출판일 : 2013-04-20
ISBN : 9788992533478
정가 : 16000
**Part1 숲
충남 금산군 / 금산자연휴양림
장쾌한 대둔산 산자락이 빈 마음에 들다
대전 대덕구 / 계족산 황톳길
짜릿짜릿한 맨발의 자유
대전 서구 / 장태산자연휴양림
푸른 나무와 맑은 하늘이 그린 수채화
충남 보령시 / 오서산자연휴양림
작은 둥지처럼 아늑한 숲 속 휴양지
충남 서산시 / 용현자연휴양림 내포문화숲길 시범 구간
산등성이에 선명하게 남은 고려 불교의 흔적
충남 아산시 / 설광봉도 봉수산 임도
구름이 흐르고 산줄기가 멈춘 자리
세종 조치원읍 / 오봉산 맨발등산로
신발이 필요 없는 매끈한 오솔길
충북 영동군 / 민주지산자연휴양림
힐링이 필요한 그대에게
충북 음성군 / 봉학골산림욕장
숲이 깊은데 볼거리도 많다
충북 음성군 / 수레의산자연휴양림
그 산이 간직해온 이야기
충북 청원군 / 미동산수목원
행복한 산책이란 바로 이런 것
충북 청원군 / 옥화자연휴양림
가만히 걸음을 늦추는 순한 숲길
충북 충주시 / 계명산자연휴양림~심항산 해맞이도시숲
11월의 어느 멋진 숲
**Part2 강ㆍ호수ㆍ바다
충북 괴산군 / 속리산 화양동계곡
송시열이 사랑한 ‘그림’ 아홉 점
충북 괴산군 / 산막이옛길
문명의 틈새에서 뱃놀이하다
대전 서구 / 도솔산~갑천
풀향기 가득한 오솔길
대전 대덕구 / 대청호반길 1코스 금강 로하스 해피로드
자연도 문명도 편안한 호숫가
대전 동구 / 대청호반길 5코스
성곽은 스러지고 호수 풍경만 남았다
충북 청원군 / 청남대 대통령길
권력자의 공간에서 대중의 놀이터로
충남 태안군 / 꽃지해안공원~안면도자연휴양림
바다ㆍ숲ㆍ계절의 부드러운 화음
충남 태안군 / 솔향기길 1코스
마을과 마음의 치유를 꿈꾸다
충남 태안군 / 태안 해변길 4코스 솔모랫길
소나무 숲 사이 잔잔한 바다
충남 태안군 / 태안 해변길 5코스 노을길
노을과 바닷바람의 기억을 따라
**Part3 역사ㆍ문화
충남 공주시 / 계룡산 갑사~금잔디고개
심호흡을 부르는 숲
충남 공주시 / 마곡사 솔바람길
귓가에 남은 은은한 풍경 소리
충북 단양군 / 소백산자락길 6자락 온달평강 로맨스길
온달과 평강이 본 남한강도 아름다웠을까
충북 보은군 / 속리산 법주사~세심정
세속은 늘 산이 그립다
충남 부여군 / 부소산성
그때, 700년 백제 왕조가 사라졌다
충북 청주시 / 상당산성
역사와 세월에 길을 묻다
충북 충주시 / 남산 충주산성
성곽 위에 쌓인 견고한 역사
충북 청주시 / 월악산 하늘재
내세와 현세를 넘나드는 옛 고갯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