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가와 문화 또는 다시 쓰는 여순사건보고서
로즈
2025-04-28 10:48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요가와 문화

도서명 : 요가와 문화
저자/출판사 : 이거룡 , 임승택 , 김재민 , 김미숙 , 최아룡 ,, 참글세상
쪽수 : 256쪽
출판일 : 2013-10-10
ISBN : 9788994781174
정가 : 17000
1. 한국의 요가 문화_이거룡
1. 문화로서의 요가 15
2. 한국에서 요가의 변용 17
3. 문화로서의 요가를 위한 반성적 진단과 전망 21
1) 일본과 서양을 통한 간접적인 수용과 요가의 한국적 토착화 21
2) 신체 중심 요가의 한계와 통합 요가 23
3) 요가의 상업화 문제와 비영리 단체를 통한 요가 교육 27
4) 요가와 아유르베다의 재결합과 ‘전인치유全人治癒’로서의 요가 29
4. 요가의 한국적 토착화와 삶의 양식으로서의 요가 문화 32
2. 요가와 수행_임승택
1. 시작하는 말 37
2. 문화로서의 요가 41
3. 현대사회에 대한 진단 45
4. 요가 실천의 사회적 함의 51
5. 초기불교 수행과의 비교 58
6. 요가 수행 문화의 정착을 위한 제언 66
3. 요가와 치유_김재민
1. 시작하는 말 75
2. 요가 치유란 무엇인가 77
1) 인간, 질병, 회복을 보는 시선들 79
(1) 현대 의학의 주류 패러다임 79
(2) 고전 요가의 관점 82
(3) 하타 요가의 관점 87
2) 현대 요가 치유관의 경향 93
3. 끝맺는 말 103
4. 요가와 생태_김미숙
요가와 생태의 연결점 109
요가의 원형과 발전 112
생태와 생명의 개념 117
요가와 생태 문화의 전일적 세계관 119
생태 요가의 실천 방안 127
공생 요가의 이념과 전망 132
5. 요가와 대중 문화, 그리고 여성_최아룡
1. 서양, 인도와 요가를 만나다 138
1) 신기한 동양 138
2) 식민지 통치 141
3) 철학으로 만난 요가 143
2. 공허해진 서구의 정신 문화 146
1) 세계대전 이후 146
2) 저항 문화 149
3. 서구 대중 문화 속의 요가 이미지-기괴함에서 고급문화, 대중문화로 156
1) 1960년대 156
2) 1970년대 이후 - 여성의 사회 진출과 여성 운동의 영향 158
3) 1980년대 에어로빅 열풍에서 2000년대 요가로 160
4) 2000년대 후반 이후의 변화 164
5) 심리적 거리를 무너뜨리는 물질적 조건들 168
4. 한국 대중 문화에 나타난 요가와 여성 171
5. 요가 본연의 자리로 회귀 174
6. 요가 문화의 현재와 미래-데생과 몽타주_박효엽
1. 요가의 르네상스를 통과하며 179
2. 요가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182
3. 숲을 보려고 시도하다 187
4. 혼종 문화, 상상 그 이상의 188
5. 혼종의 위험성과 요가의 잡종성 192
6. 요가를 통해 대안적 삶을 보다 198
7. 대안 문화의 딜레마, 한계, 전망 202
8. 요가와 연대 문화의 가능성 207
9. 요가 문화, 사회적 정의를 향해 211
10. 우리 요가 문화의 슬픈 자화상 215
11. 비판 담론, 새로운 항해의 디딤돌 219
참고 자료 225
주석 233
찾아보기 249
다시 쓰는 여순사건보고서

도서명 : 다시 쓰는 여순사건보고서
저자/출판사 : (사)여수지역사회연구소, 한국학술정보
쪽수 : 550쪽
출판일 : 2012-12-28
ISBN : 9788926840160
정가 : 29000
발간사
추천사
일러두기
제1장 조사계획의 방향과 내용
제1절 여순사건의 조사개시 결정과정
1. 사건 현황
가. 신청서 접수 현황
나. 신청사건 처리 현황
1) 조사개시 결정과정
2) 직권조사 전환 결정과정
가) 직권조사로의 전환 결정의 필요성
나) 직권조사 결정의 근거
2. 신청인 주장의 요지
3. 유족ㆍ시민단체의 진실규명 요청과 국가기관의 처리경과
가. 관련 유족ㆍ시민단체의 진실규명 활동
나. 국가기관의 사건 처리 경과
1) 여순사건 직후 국가기관의 처리
2) 제4대 양민학살사건 조사특별위원회 활동
4. 사건 개요
가. 사건의 배경 및 전개
1) 반란의 발생과 진압
2) 빨치산 토벌
나. 사건의 주요 요지
제2절 기존 연구 및 조사 현황
1. 연구 및 조사개요
가. 학술 연구
나. 시민단체의 피해실태조사
2. 주요 성과 및 한계
가. 피해 대상
나. 피해 규모
1) 사건 발생 직후 조사 결과
2) 최근 시민단체의 조사 결과
3) 실태조사의 문제점 및 한계
제3절 조사의 방향과 내용
1. 학살 이유와 규모
가. 조사방향
나. 조사내용
1) 학살 대상과 이유
가) 반란군ㆍ좌익ㆍ빨치산에 의한 학살
나) 군경에 의한 학살
2) 학살 형태와 규모
2. 처형ㆍ집행과정
가. 조사방향
나. 조사내용
1) 반란과정
2) 진압과정 및 협력자 색출과정
3) 빨치산 토벌과정
3. 지휘ㆍ명령 계통
가. 조사방향
나. 조사내용
1) 반란 및 진압 과정의 지휘체계
가) 반란군ㆍ지방좌익
나) 진압군
다) 경찰
라) 우익청년단체
마) SISㆍCIC
바) 미국: 임시군사고문단
2) 빨치산 토벌작전 과정의 지휘체계
가) 토벌군ㆍ경
나) 빨치산
4. 법적ㆍ절차적 정당성 여부
가. 조사방향
나. 조사내용
1) 계엄령의 불법성 여부
2) 국방경비법ㆍ군법회의의 불법성 여부
3) 국가보안법 적용 및 실시의 적법성 여부
제4절 향후 세부조사 계획
1. 기관자료 조사
가. 조사방향
나. 향후 조사대상 기관
1) 경찰청ㆍ경찰서
가) 해당 경찰서 자료관(문서고)현황
나) 관련자료 목록
2) 검찰청ㆍ법원
가) 해당 검찰청ㆍ법원 문서고 현황
나) 관련자료 목록
3) 육군기록정보단
가) 자료관 현황
나) 관련자료 목록
4) 국가기록원
가) 국가기록원 자료관 현황
나) 관련자료 목록
5) 기무사
가) 기무사 자료관 현황
나) 관련자료 목록
6) 기타
가) 군사편찬연구소
나) 국가보훈처
다) 읍ㆍ면사무소
라) 전남 교육청ㆍ관련 학교
마) 철도공사
다. 세부조사계획
1) 수집자료 정리
2) 수집자료 분석
3) 기관자료조사 추진일정
2. 일반 문헌자료 조사
가. 조사방향
나. 기존 확보자료
다. 조사내용
1) 연구논저
2) 신문ㆍ잡지
3) 현장사진
4) 해외자료
5) 정부 문서
6) 증언ㆍ회고록
7) 시민단체ㆍ유족회 자료
라. 세부조사계획
1) 국내 신문자료 수집계획
2) 해외자료 조사계획
3) 증언ㆍ회고록 수집계획
3. 주요 참고인 조사
가. 조사방향
나. 조사내용
1) 경찰
2) 군ㆍ헌병
3) CIC 등 정보기관 관련자
4) 14연대 생존 군인
5) 좌익ㆍ빨치산 활동자
6) 목격자ㆍ생존자
다. 세부조사계획
1) 주요 참고인 선정
2) 참고인 조사 추진 일정
4. 신청인 조사
가. 조사방향
나. 조사 내용
다. 세부조사계획
1) 주요 신청인 선정
2) 신청인 조사 추진 일정
5. 현장 조사
가. 조사방향
나. 조사내용
다. 세부 조사계획
1) ’07년도
2) ’08~’09년도
제5절 향후 조사계획 일정
1. 조사일정표
가. 조사 소요시간 및 인력 산정
1) 분야별 조사 소요시간 및 조사인력
2) 분야별 조사 소요인력
3) 전체 필요 조사인력
나. 중장기 조사일정
1) 전체 조사일정표
2) 연도별 조사일정
3) 종합 조사결과 보고서 발표
제6절 주요 참고자료
1. 주요 참고인 명단
가. 지역별 주요 참고인 명단
나. 군 관련 주요 참고인 명단
2. 중요 국내 문헌자료 목록
가. 향토사ㆍ지역사
나. 경찰사ㆍ군사ㆍ검찰사
다. 시민단체 유족회 자료
라. 단행본
마. 논문
바. 자료집
사. 최근 잡지글
아. 사건시기 잡지(북한)
3. 중요 해외자료
4. 여순사건 관련 중요 집단희생지 및 암매장지
5. 학계 및 시민단체 주장 여순사건 목록
6. 사건 관련 주요 전문가 명단
가. 학계
나. 시민ㆍ사회단체
제2장 조사 결과
제1절 군경에 의한 민간인 학살
1. 사건 전개와 특징
가. 여순사건
1) 여순사건의 배경과 전개과정
2) 여순사건의 정의
3) 여순사건의 발발
4) 반군과 좌익에 의한 학살
5) 정부의 진압작전-여수, 순천과 인근 지역 탈환 과정
6) 진압군경의 반군 협력자, 좌익혐의자 색출과정과 민간인 학살
7) 국민보도연맹 사건
8) 형무소 재소자 학살사건
9) 여순사건의 영향
나. 군경토벌작전과 민간인 학살
1) 제14연대 반군과 좌익세력의 입산
2) 군경의 토벌작전과 민간인 학살
3) 국민보도연맹 학살
가) 위원회의 진실규명 결정 희생자 수
나) 전체 희생자 수 추정
4) 형무소 재소자 학살
2. 희생 경위
가. 전남 동부지역
나. 전남 서부지역, 전북지역
다. 경남지역
3. 피학살 규모
가. 피학살 규모
1) 지역별 학살 규모
2) 사건 유형별 학살 규모
가) 군경토벌사건
나) 국민보도연맹사건
다) 형무소 재소자 희생사건
라) 군경에 의한 부역혐의 희생사건
나. 피학살자 신원
4. 가해 주체
가. 가해 주체
1) 군
가) 전남, 전북지역
나) 경남지역
2) 경찰
가) 전남, 전북지역
나) 경남지역
3) 민간인 치안조직
4) 주한미군
5) 지휘명령체계
나. 가해 이유
다. 가해의 불법성
제2절 적대세력에 의한 피학살
1. 사건 전개와 특징
가. 여순사건 초기 반군과 지방좌익에 의한 피학살
나. 빨치산에 의한 피학살
2. 학살 경위
가. 전남지역
나. 전북지역
다. 경남지역
3. 피학살 규모
가. 피학살 규모
나. 피학살자 신원
4. 가해 주체
가. 가해 주체
나. 가해 이유
제3절 소결
1. 조사결과
2. 조사의 한계
가. 여순사건에 관한 진상규명 신청과 직권조사 결정
나. 직권조사에 따른 진실규명 내용
다. 진실규명 이후의 문제점들의 도출과 파장의 확산
라. 진실규명의 문제와 대안 모색을 위한 그동안의 노력
마.선 진행된 민간인 집단희생사건들에 준하는 진상규명과 피해회복 요구
3. 유족피해
제3장 여순사건 피학살자 명단
제1절 지역별 피학살자 명단
1. 전체
2. 전남지역
3. 전북지역
4. 경남지역
제2절 사건 유형별 피학살자 명단
1. 군경토벌사건
2. 국민보도연맹사건
3. 형무소 재소자 희생사건
4. 군경에 의한 부역혐의 민간인 희생사건
5. 적대세력에 의한 피해사건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