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과 저항 또는 명시감상과 시작법상 근본 문제
땅끝
2025-05-09 07:09
6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권력과 저항

도서명 : 권력과 저항
저자/출판사 : 사토 요시유키, 난장
쪽수 : 347쪽
출판일 : 2012-06-18
ISBN : 9788994769073
정가 : 20000
한국의 독자들에게
서론
내면화란 무엇인가? l 텍스트의 전개
제1부. 장소론과 경제론
1장. 장소론 I
제1부의 서론 l 경험적-초월론적 이중성 l 니체와 바깥의 사유 l 푸코 권력 이론이 맞닥뜨린 아포리아
2장. 경제론
기관 없는 신체와 죽음의 본능 l 타자로의 생성변화 l 비인칭적 역량
3장. 장소론 II, 또는 이질성의 사유
저항 전략으로서의 생존의 기법 l 윤리의 문제계로의 전회 l 혼은 신체의 감옥이다 l 윤리적 주체화와 특이
성 l 내재성 l 제1부의 결론: 타자로의 생성변화와 자기로의 생성변화
제2부. 구조의 생성변화
4장. 죽음충동, 우발성, 저항
제2부의 서론 l 라캉적 ‘사물’ l 차연의 경제 l 마조히즘의 일차성 l 충동의 우회 l 무저항의 저항은 무엇인
가? l 데리다적 단절
5장. 이데올로기
라캉 이론과의 ‘단절’ l 국지적 이론에서 일반 이론으로 l 담론 이론으로서의 이데올로기 이론 l 정신분석 이
론에서 구조변화의 이론으로 l 구조적 인과성과 우발성 l 보론: ‘거울상적 중심화’에 관하여
6장. 구조
사회구성체의 탈중심화 l 경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l 구조변동과 우발성 l 제2부의 결론: 우발성, 물질성
결론: 저항이란 무엇인가? l 일본어판 후기 l 해설(에티엔 발리바르) l 옮긴이의 말 l 찾아보기
명시감상과 시작법상 근본 문제

도서명 : 명시감상과 시작법상 근본 문제
저자/출판사 : 이시환, 신세림
쪽수 : 348쪽
출판일 : 2010-10-10
ISBN : 9788958001027
정가 : 15000
1 정약용의 「哀絶陽」
2 박노해의 「졸음」과 이필녀의 「채집일지11」
3 김시습의 「入揷石堧贈人」
4 黃眞伊의 「奉別蘇判書世讓」
5 李白의 「楊叛兒」
6 백석의 「定州城」
7 황공규의 「삼남에 내리는 눈」
8 김지하의 「타는 목마름으로」
9 천상병의 「小陸調」
10 신석정의 「임께서 부르시면」
11 이병기의 「비2」
12 안도섭의 「서정가」
13 이창년의 「바다에 눈 내리면」
14 김종의 「진정 그대만을 사랑했노라」
15 송수권의 「山門에 기대어」
16 이근배의 「내가 산이 되기 위하여」
17 권달웅의 「초록세상」
18 박두진의 「하늘」
19 박재삼의 「바람 앞에서」
20 박용래의 「저녁눈」
21 조지훈의 「낙화」
22 이우종의 「山妻日記」
23 서정주의 「新婦」
24 문충성의 서사시 「자청비」
25 김종삼의 「북치는 소년」
26 김춘수의 「눈물」
27 차한수의 「天刑」
28 서승석의 「비밀」
29 정숙자의 「기적」
30 오규원의 「들찔레와 향기」
31 이필녀의 「안개」
32 임명자의 「봄볕에 앉아」
33 강계순의 「山3」
34 이근식의 「山行」
35 박종해의 「別賦」
36 혼다히사시의 「火の棺」
37 박곤걸의 「을숙도」...1 정약용의 「哀絶陽」
2 박노해의 「졸음」과 이필녀의 「채집일지11」
3 김시습의 「入揷石堧贈人」
4 黃眞伊의 「奉別蘇判書世讓」
5 李白의 「楊叛兒」
6 백석의 「定州城」
7 황공규의 「삼남에 내리는 눈」
8 김지하의 「타는 목마름으로」
9 천상병의 「小陸調」
10 신석정의 「임께서 부르시면」
11 이병기의 「비2」
12 안도섭의 「서정가」
13 이창년의 「바다에 눈 내리면」
14 김종의 「진정 그대만을 사랑했노라」
15 송수권의 「山門에 기대어」
16 이근배의 「내가 산이 되기 위하여」
17 권달웅의 「초록세상」
18 박두진의 「하늘」
19 박재삼의 「바람 앞에서」
20 박용래의 「저녁눈」
21 조지훈의 「낙화」
22 이우종의 「山妻日記」
23 서정주의 「新婦」
24 문충성의 서사시 「자청비」
25 김종삼의 「북치는 소년」
26 김춘수의 「눈물」
27 차한수의 「天刑」
28 서승석의 「비밀」
29 정숙자의 「기적」
30 오규원의 「들찔레와 향기」
31 이필녀의 「안개」
32 임명자의 「봄볕에 앉아」
33 강계순의 「山3」
34 이근식의 「山行」
35 박종해의 「別賦」
36 혼다히사시의 「火の棺」
37 박곤걸의 「을숙도」
38 이선숙의 「풍욕하는 여자」
39 이계설의 「그녀를 소각하다」
40 송상욱의 「승천하는 죄」
41 이추림의 「나비의 일생」
42 로베르 데스노스의 「무제」
43 김일엽·한용운의 「오도송」
44 조기천의 장편서사시 「백두산」
45 서지월의 「진달래 산천」& 김승해의 「소백산엔 사과가 많다」
46 황두승의 「장마와 變詩」
47 김기택의 「어떻게 기억해냈을까?」
48 김소영의 「태양의 노랫소리」
49 황성이의 「염원」 외
50 김태규의 「운동장」 외
51 유경환의 「변방」 외
52 산문시의 본질
53 시어와 심성과의 관계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