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주식회사 또는 탈춤 퍼포먼스와 반성성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백악관 주식회사 또는 탈춤 퍼포먼스와 반성성

땅끝
2025-05-09 07:09 6 0

본문




백악관 주식회사
9788996328742.jpg


도서명 : 백악관 주식회사
저자/출판사 : 찰스 가르시아, 황소북스
쪽수 : 383쪽
출판일 : 2010-08-30
ISBN : 9788996328742
정가 : 20000

머리말
프롤로그

제1장 리더는 일보다 인생이 중요하다는 것을 안다
제2장 리더는 사명에 집중한다
제3장 리더는 자기 사람들에게 집중한다
제4장 리더는 자신과 타인에 대한 선입견을 근절한다
제5장 리더는 정직하게 행동한다
제6장 리더는 절박감을 이끌어낸다
제7장 리더에게는 열정이 있다
제8장 리더에게는 불굴의 끈기가 있다
제9장 리더는 훌륭한 커뮤니케이터이다
제10장 리더는 필요한 것이라면 곤란한 질문도 마다하지 않는다
제11장 리더는 리스크를 감수한다
제12장 리더는 자기 사람들에게 활력을 준다
제13장 리더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경청한다
제14장 리더는 설득력이 있다
제15장 리더는 타협해야 할 때와 양보하지 말아야 할 때를 안다
제16장 리더는 문제 해결사이다
제17장 리더는 직접 발로 뛰며 지휘한다
제18장 리더는 전환적 변화를 이끄는 사람이다
제19장 리더는 직함과 직위가 아닌 경험과 역량을 이용한다.

에필로그
부록-WHF 지원서 양식
감사의 말
참고문헌




탈춤 퍼포먼스와 반성성
9788926826515.jpg


도서명 : 탈춤 퍼포먼스와 반성성
저자/출판사 : 주현식, 한국학술정보
쪽수 : 372쪽
출판일 : 2011-09-30
ISBN : 9788926826515
정가 : 20000

머리말

Part 01. 서론

Part 02. 연행적 중재 과정의 특징으로서 반성성의 시각
2.1. 반성성의 개념과 관련된 층위들
2.1.1. 반성성의 정의: 메타 커뮤니케이션적 틀거리 짓기
2.1.2. 면대면 상호 작용의 구성과 반성적 틀거리 짓기
2.1.3. 문화적 현상으로서 반성적 틀거리 짓기
2.2. 연행의 특징과 반성적 차원
2.2.1. 연극에서 연행으로: 텍스트화ㆍ컨텍스트화로서 중재적 ‘과정’의 메타 커뮤니케이션적 틀거리 짓기 행위
2.2.2. 연행되는 면대면 상호 작용으로서 의미작용의 탈컨텍스트화, 재컨텍스트화
2.2.3. 연행되는 문화로서 담론의 탈컨텍스트화ㆍ재컨텍스트화

Part 03. 탈춤의 면대면 상호 작용과 의미작용의 반성성
3.1. 담화의 연행과 언어적 틀 짓기
3.1.1. “내가 가서 자세히 보고 온즉~”: 보고 발화 및 인용과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의 틀 짓기
3.1.2. “만고성군 주문왕이 태공망 찾으려고~”: 고유명사 사용, 한자/우리말의 코드 교체 현상과 코드에 대한 코드의 틀 짓기
3.1.3. “아닌 밤중 가운데 사람 많이 모였구나”: 메타 서술과 코드에 대한 메시지의 틀 짓기
3.1.4. “니는 봤나?” “저기로 갔어요”:전환사와 메시지에 대한 코드의 틀 짓기
3.2. 체현의 연행과 비언어적 틀 짓기
3.2.1. “이게 무슨 냄새고? 쇠오줌 냄새가 난다”: 후각적 물질성의 지각과 채널의 메시지화에 의한 연대적 공간의 틀 짓기
3.2.2. “이러다 침도 못 놓겠소. 다리 좀 잡소”: 촉각적 물질성의 지각과 채널의 메시지화에 의한 유희적 공간의 틀 짓기
3.2.3. “내 아홉 마리 다 먹었잖나”: 미각적 물질성의 지각과 채널의 메시지화에 의한 향연적 공간의 틀 짓기
3.2.4. “발가벗은 사람은 대분상이라 얼씬도 말아라”: 시청각적 물질성의 지각과 채널의 메시지화에 의한 비재현적 공간의 틀 짓기
3.3. 경험의 연행과 변형으로서 틀 짓기
3.3.1. “난양공주, 영양공주, 진채봉~, 일관암, 이목골, 삼청동~, 일월산, 이강경, 삼푸주~”: 조율하기 과정의 수단들
3.3.2. “누님을랑 무당되구, 아버진 장구치구, ~ 날랑은 또 춤추리다.”: 변형되는 경험의 층위와 조율하기로서 틀 짓기_183
3.3.3. “어떻게 나무랬느냐고? … 버드나무식으로 나무랬지”: 변형되는 경험의 층위와 조작하기로서 틀 짓기
3.3.4. “ (관객) 알았어, 손 좀 줘 봐”: 변형되는 경험의 층위와 틀의 붕괴로서 틀 짓기

Part 04. 탈춤의 문화적 담론실천의 반성성
4.1. 장르의 연행과 최소화된 상호 텍스트적 간격의 틀 짓기
4.1.1. 텍스트적 사용의 합법성과 권위적 담론의 틀 짓기
4.1.2. 텍스트적 접근의 차별성과 권위적 담론의 틀 짓기
4.1.3. 텍스트적 능력의 우월성과 권위적 담론의 틀 짓기
4.1.4. 텍스트적 가치의 위계성과 권위적 담론의 틀 짓기
4.2. 장르의 연행과 최대화된 상호 텍스트적 간격의 틀 짓기
4.2.1. 역전ㆍ전도의 놀이와 탈권위적 담론의 틀 짓기
4.2.2. 동시성의 놀이와 탈권위적 담론의 틀 짓기
4.2.3. 무한성의 놀이와 탈권위적 담론의 틀 짓기
4.2.4. 재배열의 놀이와 탈권위적 담론의 틀 짓기
4.3. 집단적 기억의 연행과 변형될 미래의 틀 짓기
4.3.1. 표준화된 감정의 저장 기억과 이에 대한 참여로서 탈춤 활성 기억 틀 짓기
4.3.2. 표준화된 사고의 저장 기억과 이에 대한 참여로서 탈춤 활성 기억 틀 짓기
4.3.3. 표준화된 행동의 저장 기억과 이에 대한 참여로서 탈춤 활성 기억 틀 짓기
4.3.4. 표준화된 소통의 저장 기억과 이에 대한 창발적 사건으로서 탈춤 활성 기억 틀 짓기

Part 05. 결론

참고문헌
색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