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체제로서의 포퓰리즘 또는 다시 읽는 법화경
땅끝
2025-05-09 07:09
1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9회 연결
본문
정치체제로서의 포퓰리즘

도서명 : 정치체제로서의 포퓰리즘
저자/출판사 : 김영섭, 이담북스
쪽수 : 392쪽
출판일 : 2011-12-01
ISBN : 9788926824443
정가 : 22000
서문
제1장 서론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제2절 연구 방법
제2장 기존 연구 검토와 대안적 접근법의 모색
제1절 베네수엘라 체제 변동에 관한 기존 연구 검토
1. 정치 과정적 시각: 베네수엘라 예외주의 테제
2. 정치경제학적 시각: 석유국가론
3. 포퓰리즘적 시각: 포퓰리즘 체제 변동론
제2절 베네수엘라 정치 엘리트의 역할과 체제 변동
제3절 연구의 구성
제3장 협약민주주의 체제와 정치 엘리트의 통치력 한계
제1절 협약 민주화 이전 정치체제
1. 석유지대추구 국가의 형성과 전개 과정
2. 권위주의 체제 ‘병영국가’
3. 권위주의 체제에서의 초기 민주화 운동
4. 미완의 민주화(1945~1948)
제2절 협약민주주의 체제: 정치협약과 포퓰리스트 정책
1. 푼토피호 정치협약과 정당지배체제
2. 정부의 경제정책
제3절 협약민주주의 체제의 한계
1. 협약 민주화의 한계: 폐쇄적 정치대표체계
2. 석유 주도 경제의 위기
제4장 포퓰리즘체제로의 변환: 엘리트 균열과 신자유주의 실패
제1절 신자유주의 개혁의 실패
1. 페레스 정부의 신자유주의 정책 시행 배경과 결과
2. 칼데라 정부
3. 신자유의정책 실패 원인
제2절 민주주의 체제 균열과 붕괴
1. 체제 균열: 사회적 양극화
2. 엘리트 균열과 정당체제 붕괴
3. 정당체제 붕괴론의 의미
제3절 차베스 포퓰리즘 체제로의 변환
1. 중남미 정치지형 변화: ‘좌파 바람’의 본질
2. 차베스는 누구인가: ‘혁명적 포퓰리스트’ 지도자
3. 선거를 통한 ‘정치혁명’
4. ‘볼리바르 혁명’은 무엇인가
제5장 차베스 포퓰리즘 체제의 작동 메커니즘
제1절 급진적 동원화
1. 정치적 양극화
2. 새로운 정체성 등장: 민중 단일체 신화
3. 제헌의회: 요구의 제도화
4. 2007년 12월 개헌 국민투표 부결 원인
제2절 차베스 포퓰리스트 레짐의 작동구조
1. 차베스 체제의 실험적 제도: 볼리바리안 민중 포섭
2. 차베스 체제에서의 정당과 군, 노동
3. 병행 구조(Parallel Structure)로서의 제도
4. 사회경제 프로젝트
제3절 차베스 체제의 가능성과 한계
1. 차베스 체제의 가능성
2. 차베스 체제의 한계
3. ‘차베스 포퓰리즘’과 21세기 사회주의 그리고 민주주의
제6장 결론
제1절 연구요약
제2절 의의와 과제
1. 의의
2. 과제
<보론> 정치체제로서의 포퓰리즘: 1990년대 전후 포퓰리즘 재탄생의 퍼즐
<부록> 주요 약어 정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부록> 보론>
다시 읽는 법화경

도서명 : 다시 읽는 법화경
저자/출판사 : 차차석, 조계종출판사
쪽수 : 372쪽
출판일 : 2010-04-21
ISBN : 9788993629408
정가 : 16000
서문_또 하나의 디딤돌이 되길 바라면서
해제 01 대승불전 중 『법화경』의 위상과 특징 / 02 『법화경』의 경명과 그 의미 / 03 『법화경』의 성립 과정
제1 서품(序品) 1강_설법을 듣는 청중들 / 2강_설법에 앞서 꽃비·대지 진동 등 기적 일어나는 등 온 우주가 축복하다 / 3강_자비를 바탕으로 지혜의 진리 설하다
제2 방편품(方便品) 1강_방편이란 무엇인가? / 2강_십여시에 대해 / 3강_일체 존재의 참다운 모습 / 4강_ 오천 증상만의 정체 / 5강_부처님이 세상에 나오신 목적 / 6강_논리의 부정과 그 의미 / 7강_수행의 단순화와 만선성불론
제3 비유품(譬喩品) 1강_불난 집의 비유 / 2강_부처님은 중생의 아버지다
제4 신해품(信解品) 1강_진정한 믿음과 깨달음의 시작 / 2강_부처님의 자식이라는 자부심
제5 약초유품(藥草喩品) 1강_삼초이목의 비유 / 2강_실천적 자비의 법우인 사홍서원
제6 수기품(授記品) 1강_수기, 구원의 예시 / 2강_불국토, 직선적 역사의식의 표현
제7 화성유품(化城喩品) 1강_화성의 비유와 의미 / 2강_불전문학과 화성유품 / 3강_인연의 성숙과 지속, 그리고 창출 / 4강_왕자의 성불과 홍법의 의미
제8 오백제자수기품(五百弟子授記品) 옷 속의 구슬을 모르는 중생
제9 수학무학인기품(授學無學人記品) 구원은 누구나 가능하다
제10 법사품(法師品) 1강_법사와 원력생 / 2강_법을 널리 알릴 때의 세 가지 규칙
제11 견보탑품(見寶塔品) 1강_땅에서 솟아난 보탑의 의미 / 2강_다보불과 석가불이 한자리에 앉다
제12 제바달다품(提婆達多品) 진리 앞에서는 누구나 동등하다
제13 권지품(勸持品) 인욕의 갑옷을 입어라
제14 안락행품(安樂行品) 1강_안락행의 의미 / 2강_행복의 길 4안락행
제15 종지용출품(從地涌出品) 1강_지용보살의 정체성 / 2강_현상계와 법계의 합일
제16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 1강_시공을 초월한 영원한 부처님 / 2강_훌륭한 의사의 비유
제17 분별공덕품(分別功德品) 4신5품의 공덕
제18 수희공덕품(隨喜功德品) 일념으로 기뻐하는 공덕
제19 법사공덕품(法師功德品) 육근이 청정해지는 공덕
제20 상불경보살품(常不輕菩薩品) 인간에 대한 무한 사랑
제21 여래신력품(如來神力品) 신통력으로 교화하다
제22 촉루품(囑累品) 『법화경』을 알리는 공덕
제23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 1강_소신공양에 대하여 / 2강_열 가지 찬양과 수지의 공덕
제24 묘음보살품(妙音菩薩品) 현일체색신삼매와 34신의 시현
제25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 1강_관음신앙의 연원과 종교학적 의의 / 2강_관음의 공덕과 가림 없는 사랑
제26 다라니품(陀羅尼品) 법사를 수호하는 다라니
제27 묘장엄왕본사품(妙莊嚴王本事品) 전법의 화신들
제28 보현보살권발품(普賢菩薩勸發品) 법사의 수호자인 보현보살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