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수행법 강의 또는 철학자들의 신과 성서의 하나님
땅끝
2025-05-09 07:09
1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9회 연결
본문
불교수행법 강의

도서명 : 불교수행법 강의
저자/출판사 : 남회근, 부키
쪽수 : 800쪽
출판일 : 2010-07-10
ISBN : 9788960510883
정가 : 30000
옮긴이의 말
제1강
어떻게 이 강의가 시작되었나
석가모니는 무엇을 깨달았을까
참고 경전
해탈과 오도
견지, 수증, 행원
인과가 전도되었다
사가행
제2강
위경이라는 주장에 대한 변론
『능엄경』의 밀인
마음과 연
칠처징심
팔환변견
오십 종 음마
색음
수음
제3강
주화입마
수음진
상음
행음
식음
제4강
물가의 늙은 학
식음
오음과 그 영역
망상은 원래 공이다
사대로부터의 해탈
염화시중의 미소
부처님이『법화경』을 설하다
제5강
『법화경』과 『장자』의 우화
오천의 비구가 자리를 뜨다
분단생사와 번역생사
손가락 한 번 튕기는 사이 팔만사천 겁이 지나다
「비유품」: 불타는 집과 수레 세 대
「신해품」
「약초유품」
「화성유품」
제6강
『법화경』과 한산
옷 속의 보물
소욕과 무욕
불법과 황제
『수학무학인기품』
의사 중의 의사
다보여래와 장상영
용녀의 성불
부처의 번뇌
제7강
『증일아함경』과 십념법문
안반, 지관, 연기
「안반품」제17
정의, 정신, 정언
들숨과 날숨
라훌라의 염안반
제8강
소승과 대승의 융합
초선에서 사선까지 자훌라의 수행 보고
염신과 백골관
현교와 밀교의 융회 관통하는 십념 수행
제9강
맹자의 호연지기
견사혹과 결사
『능엄경』에 나오는 십 종의 선인
육욕천도
욕구의 단절과 연기 조식
요가와 밀종의 수행법
제10강
청식, 수식의 문제
도교의 정기신, 낙ㆍ명ㆍ무념, 불교의 삼계
천태종의 삼지삼관, 공ㆍ가ㆍ중
밀종과 수기
수맥
제11강
달마조사의 이입과 행입
이조 혜가의 안심
사조 도신과 각 종파
오조 홍인의 시대
육조 혜능의 시대
심즉시불의 폐단
작은 석가모니 앙산
임제의 사료간
제12강
화두 참구와 관심법문
삼제탁공
임제의 사료간에 대한 재설명
영가가 삼신을 말하다
선과 『지월록』
생사의 문제
위산과 앙산의 문답
협산이 도를 깨치다
제13강
심리를 살피는 관심법문
삼제탁공과 현재의 마음
사료간과 화후
선과 불가분의 것
협산이 낙포를 제도하다
『종경록』의 오도에 대한 열가지 물음
낙포의 삼관
임제의 삼현문
조동종을 말하다
제14강
불이법문과 자연외도
본성과 망념
일체유심과 심신
동산조사를 말하다
『역경』의 괘와 오위군신
수행의 세 가지 폐단과 염승법문
조산선사를 말하다
여래선과 조사선
오대 운문종의 융성
제15강
어떻게 신견을 없애는가
음계를 지키는 조비식 수련법
망념을 없애는 호흡 수련
운문조사의 오도 인연
운문조사를 말하다
운문조사와 삼평의 게송
법신의 두 가지 병폐
진상서가 운문을 대접하다
제16강
운문의 교육법
법안종과 선시
선종에 대한 오해
선종의 에워싸서 치는 교육법
사선, 사대와 삼대겁
심신의 건강과 수도
성종과 상종
오변행과 오음
의식과 여력
제17강
원오근선사를 말하다
관음법문과 원오근의 오도송
믿음의 어려움
정이란 어떤 상태인가
수정과 일체유심
공과 고선
유와 긴장
색신의 조절
제18강
불교의 우주관
우주의 재난
인류의 재난, 화재ㆍ수재ㆍ풍재
심법과 색법
인체의 삼계
머물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며 바라지 않는다
심체와 그 작용
심, 의, 식이란 무엇인가
기질의 변화
제19강
색신의 전화
지수화풍으로 이루어진 사대
삼재와 수행
사대의 종자와 색법
상속심
사선팔정과 정기신
선행과 아누다라삼먁삼보리
욕계에 얽매인 심리 상태
제20강
무엇이 정의 경계가 아닌가
작의의 전일함
세간정과 출세간정
유심지와 무심지
마음이 생기거나 생겨나지 않는 인연
무심지에 속하는 여섯 과위
유여의열반과 무여의열반
제21강
불법은 세간에 있다
『선종직지』의 대사인연
설암흠선사의 공안
고봉묘선사의 공안
정의 경계에 드는 대치법문
제22강
삼신의 성취
여순양의 백자명
무엇이 정에 들어서고 머물고 사라지는 것인가
자량의 중요성
정의 경게에 물러섬
현관과 성교량
제23강
환상과 안통
사가행의 수행법
성문승의 사가행
독각승의 사가행
팔만사천의 대치
습기를 차례로 끊다
대반야는 큰 횃불과 같다
대승의 삼유와 열반
오온에서 벗어나기 어려움
제24강
도솔천에 왕생하다
제일의제
사정단
대승보살의 가행
『현관장엄론』의 사십육 종 마경
육도 보살행
네 종류의 마경
소승의 수증 순서
대승의 수증 방법
제25강
이장자의 『합론』
불법의 시간과 공간 관념
때닭아 밝은 것이 허물이 된다
망념과 정, 성과 정
제전스님과 임주선
색온
수온, 상온, 행온
제26강
감각의 경계에 갇히다
사와 상의 작용
다시 행음을 말하다
『백법명문론』과 심불상응행법
오음해탈
심행의 전화
타좌의 3단계
제27강
지와 색신
지와 사
수행의 첫걸음
유식의작의, 천태종의 가관
가상이 만든 마경
영명과 청정을 지킴
육근의 누
임맥의 변화
제28강
행원만이 있을 뿐
삼천의 선행, 수천의 공덕
마음의 결사를 풀어내다
정의 자비와 지의 자비
심행의 동요
어떻게 기질을 변화시키는가
사중의 은혜와 삼도의 고통
행하고 행하며 다시 행하고 행하라
부록
삼계천인표
견사혹과 삼계, 구지, 단혹 증진의 관계
찾아보기
철학자들의 신과 성서의 하나님

도서명 : 철학자들의 신과 성서의 하나님
저자/출판사 : 존 쿠퍼, 새물결플러스
쪽수 : 593쪽
출판일 : 2011-03-14
ISBN : 9788994752020
정가 : 35000
감사의 말|약어
제1장 범재신론: 철학자들의 다른 신
고전적 유신론, 관계적 신학, “철학자들의 신”|철학자들의 다른 신: 범재신론 전통|이 연구의 두 가지 목적|대상 독자들: 신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예비적 개관|범재신론의 기본 용어들과 구별
제2장 플라톤에서 기독교 신플라톤주의까지의 범재신론
플라톤주의: 두 가지 신학 전통의 원천|플라톤|스토아주의: 자연주의적 범신론|신플라톤주의|위-디오니시우스와 기독교 신플라톤주의|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마이스터 에크하르트|니콜라우스 쿠자누스|야콥 뵈메|결론
제3장 르네상스에서 낭만주의까지의 범신론과 범재신론
조르다노 브루노|바뤼흐 스피노자|17세기 신플라톤주의|조나단 에드워즈|초기 독일 낭만주의: 레싱과 헤르더|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결론
제4장 셸링과 헤겔: 현대 범재신론의 대부들
배경: 칸트와 피히테|셸링|헤겔|결론
제5장 19세기 동안의 확산
독일|영국|미국|프랑스|결론
제6장 테이야르 드 샤르뎅의 그리스도 중심적 범재신론
오메가 포인트로의 우주 진화|테이야르의 신학: 오메가는 우주적 그리스도 안의 하나나님이다|테이야르의 범재신론: “기독교 범신론”|결론: 이단자에서 선지자로
제7장 과정신학: 화이트헤드, 하트숀, 캅, 그리핀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찰스 하트숀|존 캅과 데이비드 그리핀의 기독교 과정신학|과정신학과 자유 의지(열린) 유신론|결론
제8장 폴 틸리히의 실존주의적 범재신론
틸리히가 말하는 철학과 신학의 상관성|틸리히의 실존주의적 존재론|틸리히의 하나님과 세계에 대한 이론|틸리히의 범재신론
제9장 20세기 철학, 신학, 종교에서의 다양성
기독교 전통에 속한 철학자들|기독교 전통에 속한 신학자들|비기독교 범재신론자들|결론
제10장 몰트만의 상호 내재적 범재신론
개관|변증법적 존재론과 희망의 신학|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삼위일체와 하나님 나라|『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 보편화되는 상호 내재성|『오시는 하나님』|기독교 신학으로서 몰트만의 범재신론
제11장 판넨베르크의 범재신론적 힘의 장
판넨베르크는 범재신론자인가?|판넨베르크의 삶과 신학에 대한 개관|판넨베르크의 범재신론: 신적인 힘의 장|판넨베르크의 역사적-삼위일체적 범재신론|결론
제12장 범재신론적 해방신학과 생태신학
제임스 콘의 흑인 신학|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여성-생태신학|결론
제13장 신학적 우주론 안의 범재신론
바버의 조건부 과정 범재신론|데이비스의 단일 과정적 범재신론|피코크의 자연주의적 성례전적 범재신론|클레이튼의 창발적 인격적 범재신론|폴킹혼의 종말론적 범재신론|결론
제14장 나는 왜 범재신론자가 아닌가
대답의 성격|성경의 하나님|교리적이며 신학적인 쟁점들|철학적 쟁점들|성경적 세계관과 구속사|결론
인명 색인|주제 색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