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종기와 사투를 벌이다 또는 석명권의 역사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조선 종기와 사투를 벌이다 또는 석명권의 역사

땅끝
2025-05-09 07:09 13 0

본문




조선 종기와 사투를 벌이다
9788959402397.jpg


도서명 : 조선 종기와 사투를 벌이다
저자/출판사 : 방성혜, 시대의창
쪽수 : 360쪽
출판일 : 2012-07-25
ISBN : 9788959402397
정가 : 15000

시작하는 글
역사의 숨은 폭군, 종기를 만나다

1부 구중궁궐 왕실의 종기 스캔들

종기가 조선의 역사를 바꾸었다
구중궁궐 왕실이라는 곳│종기가 일으킨 정치 스캔들│의학적 사실에 가장 가까운 상상의 나래를 펴다

문종의 종기, 세조의 피바람을 부르다
예견된 불행의 시작│회복 직후의 재발│병에 걸린 몸으로 아버지 세종의 장례를 치르다│빈전에 나가지 마소서│39세 나이에 종기로 훙하다│문종의 죽음이 불러온 세조의 피바람

성종의 배꼽 아래 종기와 대장암
여름부터 시작된 점액 변│그해 겨울, 점점 야위어가다│배꼽 아래 작은 덩어리가 만져지다│종기 전문가를 부르다│손쓸 틈도 없이 승하하다│대장암이 의심된다│성종의 발자취

꽃미남 외모를 망친 연산군의 얼굴 부스럼
호리호리한 체격의 연산군│하얀 얼굴의 귀공자│세자의 얼굴을 뒤덮은 부스럼│중국에서 가져온 신약을 시험해보다│연산군 면창의 정체│평소에도 허약했던 체질

신하들에 눌려 살았던 중종의 연쇄적 종기
얼마나 답답했을까?│여기저기 나는 종기들│분노의 화가 종기를 부르다│국산 신약을 시험해보다│임종까지 함께한 의녀 대장금

광해군의 화병과 얼굴 종기
비운의 왕│화병과 눈병으로 장기간 고통 받다│뺨에 생긴 종기│광해군의 화병은 왜 생겼을까?│쓸쓸하게 여생을 보내다

아들의 병을 걱정하다 자신의 종기를 놓친 효종
아들의 병을 돌보느라 자신의 병 치료를 놓치다│효종에게는 소갈병도 있었다 │왕이 위독하다│병을 알린 지 7일 만에 승하하다│소갈이 오래되면 필히 옹저가 생긴다

병을 달고 살았던 현종
재위 초기부터 앓은 눈병│역시 재위 초기부터 생긴 습창│목 주위에 줄줄이 생긴 멍울│경부 결핵성 림프절염이 강력히 의심된다│사랑하는 딸과 어머니와 이별한 후 곧 사망하다

간이 나빴던 숙종의 하복부 종기
재발하는 격한 통증│간에도 문제가 있었다│숙종의 하복부는 지저분했다│백내장이 생기다│다혈질인 군주│간경화로 사망하다

고통 속에 살다 고통 속에 죽은 인현 왕후
파란만장했던 인생│고관절에서 시작된 통증│경련이 생기다│고관절에 종기가 생기다│가슴이 답답한 것이 제일 괴롭다│빨리 죽는 것이 소원이로다│사인(死因)은 종기의 독이 입심(入心)한 것

마음이 더 병들었던 경종
어머니의 죽음을 직접 목도하다│이상한 병이 생긴 지 오래되었다 │상소를 듣고 심기가 폭발하다│종기에는 분노를 경계해야 합니다

조선의 역사를 바꿔버린 정조의 종기
얼굴에 종기가 곧잘 생기다│이번에는 등에 종기가 생기다│종기가 생긴 지 24일 만에 사망하다│갑자기 찾아온 혼수상태│정말 인삼이 정조를 죽였을까?│안타깝고 안타깝고 또 안타깝도다

2부 조선 의학이 종기와 싸워 승리한 순간

종기와 싸워 승리하다
종기 치료의 기승전결│종기 치료는 디톡스 이론과도 통한다│종기 치료는 뛰어난 독주가 합쳐진 오케스트라│종기를 고쳐내다

쓸개가 정조의 수명을 연장해주었다
머리에 난 종기가 얼굴까지 퍼지다│곰의 쓸개로 고약을 만들어 치료하다│순조의 다리에 생긴 종기│개의 쓸개즙으로 약을 만들어 바르다│한의학에서 보는 쓸개의 효능

중종의 피고름을 빨아 먹은 거머리
종기가 난 곳의 살가죽이 딱딱하다│거머리로 하여금 종기 부위를 빨게 하다│문종의 허리 아래 종기에 거머리를 붙이다│한의학에서 보는 거머리의 효능

효종의 손바닥 종기를 고친 두꺼비
손바닥에 종기가 나다│구워 말린 두꺼비 가루를 사용하다│두꺼비의 진액은 오직 내의원에만 있는 것│한의학에서 보는 두꺼비의 효능

혜경궁 홍씨의 종기를 치료한 검은 소의 분변
혜경궁 홍씨의 손등에 종기가 나다│우분고를 발라 치료하다│우분이 무엇이길래?│한의학에서 보는 우분의 효능

현종의 허벅지 종기를 치료한 누룩
현종의 왼쪽 허벅지에 종기가 생기다│촉농고로 치료하다│촉농고의 주재료는 바로 누룩│한의학에서 보는 누룩의 효능

현종의 나력에 추천한 발효 한약
뒷목에 멍울이 생기다│현삼주가 자못 효과가 있다│항아리에 넣고 익히는 한약│한의학에서 보는 발효 한약의 효능

현종의 서혜부 종기를 치료한 대황과 용담초
서혜부에 종기가 나다│간경의 습열 때문이니 용담사간탕을 써야 한다│아들인 숙종도 같은 부위에 종기가 났다│한의학에서 보는 대황과 용담초의 효능

왕실의 공인 소염제였던 인동차와 우황
왕세자의 뺨에 종기가 나다│인동차와 우황을 올리다│경종의 팔뚝에 종기가 나다│한의학에서 보는 우황의 효능

민간의 종기 치료
침으로 치료하다│뜸으로 치료하다│외치법으로 치료하다│하법(下法)으로 치료하다│동물성 약으로 치료하다│광물성 약으로 치료하다│이름 있는 약으로 치료하다

3부 치열하게 살다 간 이 땅의 종기 전문의

시대가 종기 전문의를 필요로 하다
의사의 종류│실력 있는 의사에게 궁궐은 열린 공간이었다│치종의는 지금의 외과의사와 같다

김순몽, 천민에서 실력파 의료인의 전형이 되다
노비 출신이 당대 최고 유의의 눈에 띄다│오를 수 없는 계단에 오르다│끊임없는 양반들의 질시│병에 걸리면 너도나도 김순몽을 찾다

임언국, 한국의 편작 한국의 파레
어머니의 종기가 그를 의사의 길로 인도하다│서울로 진출했지만│국립종기전문치료센터를 세우게 하다│동시대 동아시아에 없던 독창적 침법│의료인 한 사람의 천문학적인 가치│후대까지 드리워진 그의 영향

윤후익, 신하들의 질시와 임금의 총애를 한 몸에 받다
인조 때 등용되다│임금의 종기와 습창을 치료하여 당상관에 오르다│신하들의 끊임없는 탄핵│임금의 끊이지 않는 총애│임금으로부터 받은 마지막 상

백광현, 마의에서 신의로
그는 시장 통의 비렁뱅이 소년이었다│마의(馬醫)가 인의(人醫)가 되다│인의(人醫)가 신의(神醫)가 되다│삶과 죽음을 정확히 예언하다│자신의 목숨을 담보로 왕대비의 뒷목을 과감히 절개하다│환자의 귀천보다 병의 경중을 먼저 따지다│왕도 울고 백성도 울다

문맹자 피재길, 최고의 고약을 만들다
아버지의 유산│정조 임금을 만나다│내의가 고치지 못한 병을 고치다│정조 임금과의 이별│고대의 현자가 환생하여 비밀리에 전한 신비로운 처방

이동, 사람의 몸에서 나오는 것을 약재로 이용하다
마부의 의술이 집주인의 의술보다 더 뛰어나다│그만의 독특한 약재 철학│기침 소리만으로 폐농양을 진단해내다│정조 임금의 치질을 치료하다│의사는 뜻을 얻어야 한다

조광일, 오직 가난한 자들만 치료하다
태안에 은둔한 침의 달인│주머니 속의 침으로 사람을 살리다│가난한 자, 힘없는 자들의 편에 서다│나만은 고관 현작들의 병을 치료하지 않으리라│이승에서 환자 만 명을 고치리라

4부 조선의학이 종기와 싸운 방법

종기 치료에 꼭 필요한 무기
종기의 일생│항생제가 필요할 텐데?│소염제도 필요할 텐데?│조선시대 항생법과 소염법

각종 약물을 이용한 뜸 소염법
700℃의 마법│흐르는 물은 썩지 않고 구르는 돌은 이끼가 끼지 않는다│얼음을 데워서 녹이듯이│최단 시간에 최소량을 써서 최장 깊이로 약재 성분을 투입하라

가장 가까운 출구로 내보내는 배설 소염법
염증에는 반드시 찌꺼기가 생긴다│찌꺼기가 다 나가야 소염이 된다│윗몸의 병은 토법으로 배출해야│아랫몸의 병은 하법으로 배출해야│피부의 병은 피부로 배출해야

부항으로 뽑아내는 소염법
염증의 찌꺼기를 뽑아내라│균의 서식처를 없애면 균이 살지 못한다│대나무 부항법│단지 부항법│거머리 석션법

찜질로 하는 온열 소염법
염증에는 온열 찜질인가, 한랭 찜질인가?│성종 임금에게 추천한 뜨거운 기와 찜질법│치루에는 뜨거운 벽돌 찜질법│아물지 않는 환부에는 뜨거운 콜라겐 찜질법

쓸개를 이용한 분해 소염법
쓸개를 둘러싼 의문의 연쇄 살인 사건│쓸개가 창질에 좋다│쓸개의 성분이 무엇이길래?│약용했던 동물의 쓸개

금색과 은색이 함께 어우러진 꽃이 약이다
금은화에 얽힌 전설│전설이 말해주는 효능│금은화술을 마시면 종기가 낫는다│금은화가 주인공이다│신종플루와 금은화

조선시대 프로바이오틱스
21세기 새로운 약의 형태│한약에 미생물을 입히다│한약에 세월을 입히다│감염 질환에 쓰이다

가장 더러운 것이 가장 더러운 것을 치료한다
프로바이오틱스의 원료│또 한 가지 조선시대 프로바이오틱스│가장 더럽고 원시적으로 보이지만│분변 여과액의 용도

조선시대 프로폴리스
천연 항생제인 프로폴리스의 유행│벌집에서 채취하는 황랍│벌집이 만들어주는 천연 항생제│말벌의 집 노봉방│돼지머리로 감사 표시를 하다│노봉방의 여러 용도│벌이 집을 지키듯 인간을 각종 감염에서 지키다

생물의 독을 항생제로 이용하다
독으로 살균한다│두꺼비의 분비샘에는 독이 있다│두꺼비를 기와에 담아 불에 구워라│살에 닿으면 물집이 생기는 곤충

썩어가는 종기, 얼어버린 종기 소염법
따뜻한 피가 가지 못하면 검게 썩는다│충수에 생긴 종기가 검게 썩어가다│뼈에 생긴 종기가 검게 썩어가다│종기가 얼어버려 염증이 그치질 않는다│동상으로 살이 얼어버렸다

만성 종기, 허약자의 종기 소염법
질질 끄는 종기, 극도 허약자의 종기│황기에 얽힌 일화│환부가 아물지를 않는다│탁리(托裏)가 무엇이길래

마치는 글
병이란 무엇인가?│왕들의 종기는 왜 이리도 안 나았나?│21세기에는 왜 종기가 잘 안 생기나?

참고 자료




석명권의 역사
9788926808887.jpg


도서명 : 석명권의 역사
저자/출판사 : 김영, 한국학술정보
쪽수 : 412쪽
출판일 : 2010-04-15
ISBN : 9788926808887
정가 : 29000

제1장 1945년부터 1960년까지의 辯論主義와 釋明權
Ⅰ. 法律의 規定
Ⅱ. 文獻의 立場
1. 訴訟資料의 提出에 대한 當事者의 權能 및 責任: 辯論主義
2. 辯論主義의 補完策으로서의 法院의 釋明權
3. 기타 辯論主義의 制限 내지 補完策
Ⅲ. 判例의 立場
1. 辯論主義와 釋明權의 關係
2. 具體的인 釋明權의 行使領域
Ⅳ. 제1기(1945년부터 1960년까지) 辯論主義와 釋明權의 評價
1. 法律規定의 評價
2. 文獻의 評價
3. 判例의 評價

제2장 1960년대의 辯論主義와 釋明權
Ⅰ. 法律의 規定
Ⅱ. 文獻의 立場
1. 訴訟資料의 提出에 대한 當事者의 權能과 責任: 辯論主義
2. 辯論主義의 補完策으로서 法院의 釋明權
3. 그 밖의 辯論主義의 補完手段들
Ⅲ. 判例의 立場
1. 請求趣旨에 대한 釋明義務
2. 當事者의 事實陳述에 대한 釋明
3. 當事者의 法律上 主張에 대한 釋明
4. 證據와 관련된 釋明
5. 訴訟要件에 대한 釋明義務
6. 다른 請求權의 基礎에 대한 釋明
7. 새로운 攻擊 · 防禦方法의 釋明
Ⅳ. 제2기(1960년부터 1970년 초까지) 辯論主義와 釋明權의 評價
1. 法律規定의 評價
2. 文獻에 대한 評價
3. 判例에 대한 評價

제3장 1970년대와 1980년대의 辯論主義와 釋明權
Ⅰ. 法令의 規定
Ⅱ. 文獻의 立場
1. 訴訟資料의 提出에 대한 當事者의 權能과 責任: 辯論主義
2. 辯論主義의 限界에 대한 補完策으로서 當事者의 眞實義務와 法院의 釋明權
3. 그 밖의 辯論主義의 補完手段들
4. 少額事件 審判節次의 形成과 辯論主義의 修正
Ⅲ. 判例의 立場
1. 請求趣旨에 대한 釋明義務
2. 當事者의 事實陳述에 대한 釋明
3. 當事者의 法律上 主張에 대한 釋明
4. 訴訟要件에 대한 釋明義務
5. 새로운 攻擊 · 防禦方法의 釋明
Ⅳ. 제3기(1970년부터 1980년 말까지) 辯論主義와 釋明權의 評價
1. 法令에 대한 評價
2. 文獻에 대한 評價
3. 判例에 대한 評價

제4장 1990년 이후 2002년까지 辯論主義와 釋明權
Ⅰ. 法令의 規定
Ⅱ. 文獻의 立場
1. 民事訴訟을 支配하는 審理의 一般原則으로서의 辯論主義
2. 辯論主義의 補完策으로서 法官의 釋明
3. 그 밖의 辯論主義의 補完策
Ⅲ. 判例의 立場
1. 請求趣旨에 대한 釋明
2. 當事者의 事實陳述에 대한 釋明
3. 當事者의 法律上의 主張에 대한 釋明
4. 證據와 관련된 釋明
5. 訴訟要件에 대한 釋明義務
6. 法的 觀點 示唆義務
7. 請求의 變更에 대한 釋明
8. 새로운 攻擊 · 防禦方法의 釋明
Ⅳ. 제4기(1990년부터 2001년까지)의 評價
1. 法律規定에 대한 評價
2. 文獻에 대한 評價
3. 判例에 대한 評價

제5장 2002년 이후의 辯論主義와 釋明權
Ⅰ. 法令의 規定
Ⅱ. 文獻의 立場
1. 集中審理制度의 導入과 釋明權의 行使
2. 改正 民事訴訟法과 當事者의 訴訟主導權
Ⅲ. 判例의 立場
1. 請求趣旨에 대한 釋明義務
2. 當事者의 事實陳述에 대한 釋明
3. 當事者의 法律上 主張에 대한 釋明
4. 證據와 관련된 釋明
5. 訴訟要件에 대한 釋明義務
6. 法律上 事項에 대한 指摘義務
7. 請求의 變更에 대한 釋明
8. 새로운 攻擊 · 防禦方法의 釋明
Ⅳ. 제5기(2002년 이후) 釋明權의 評價
1. 法律의 評價
2. 文獻의 評價
3. 判例의 評價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