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음악 Sound Vol.5: 한국 대중음악 엔터테인먼트산업 또는 교육용 로봇콘텐츠 프로듀서 되기
땅끝
2025-05-09 07:09
1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8회 연결
본문
대중음악 Sound Vol.5: 한국 대중음악 엔터테인먼트산업

도서명 : 대중음악 Sound Vol.5: 한국 대중음악 엔터테인먼트산업
저자/출판사 : 박준흠, 도서출판 선
쪽수 : 490쪽
출판일 : 2012-09-20
ISBN : 9788963124605
정가 : 25000
[커버스토리]
한국 대중음악 엔터테인먼트산업
- 한국 대중음악 엔터테인먼트 100년 역사, K-POP, 대중음악 엔터테인먼트기업
서문
대중음악 연구는 전문인력, 자료, 시간, 예산 그리고 애정 모두가 필요한 작업 _ 박준흠
Ⅰ. 엔터테인먼트산업 총론
1. 엔터테인먼트산업 : 음악산업을 중심으로
_ 현재 음악산업은 조정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혼란기’ _ 고정민
Ⅱ. 한국 대중음악 엔터테인먼트 100년
1. 1907~1945
음반 기획과 제작의 태동기를 돌아보다 _ 1907~1945년까지의 음반 회사를 중심으로 _ 장유정
2. 1946~1959
해방 이후 1950년대 한국 대중음악 엔터테인먼트산업 _ 전쟁으로 황폐화된 음반산업은 1958년 LP음반 발매를 시작으로 성장의 기틀 마련 _ 최규성
3. 1960~1979
1960~70년대 한국 대중음악 엔터테인먼트산업 _ 한국 음악산업의 기반이 다져지고 융성의 발판을 이룬 시기 _ 최지선
4. 1980~1991
1980년대 한국 대중음악 엔터테인먼트산업 _ 컬러TV 방송 시작과 팝송의 영향력 하에서 음악시장의 내용들도 세분화, 다양화 됨 _ 성우진
5. 1992~1994
본격적인 대중음악 엔터테인먼트산업의 시작 _ 서태지의 등장과 아이돌스타 시스템 시작, 10대 중심의 음악소비자층 형성 _ 김경진
6. 1995~2000
SM엔터테인먼트 출범과 아이돌 시스템의 명암 _ 연습생육성 제도 시작, ‘아이돌 가요 생산 시스템’의 완성 _ 원종우
7. 2001~2012
음반시장 붕괴와 K-POP 브랜드로 해외진출 시도 _ 이제, 음악산업이 균형 있게 성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환경을 정책적으로 고민할 때 _ 권석정
Ⅲ. K-POP의 범주와 지속가능성
1. K-POP의 범주와 속성에 관한 소고(小考)
- 음악적인 장르라기보다는 오히려 ‘지리정치학’적이며 ‘미디어친화’적이며 특정 세대를 일컫는 사회적 맥락에 산업적인 특성도 함유 _ 정호재
2. 세계 주요 국가 대중음악시장 규모, 환경 분석 및 시사점
- 디지털 음악시장의 성장, 음반 상품의 진화, 가정용 디지털 디바이스의 진화, 실연권 시장의 지속적 성장 등 _ 김영수
3. K-POP의 지속가능한 경쟁력 유지 전략
- 국가별 K-Pop 진출에 대한 전략 및 성과 _ 김재범, 양승규
4. K-POP의 해외진출 사례별 성과 및 지속성 예측
- 실제 성패 사례와 현지 소비자/업체 등의 인터뷰를 통한 성과 판별 및 예측 _ 홍정택
Ⅳ. 대중음악 엔터테인먼트기업 대표 인터뷰
1. CJ E&M 음악사업부문 안석준 대표
- “아티스트에게 주는 기회, 장르에 대한 부흥과 노출 등을 통한 이슈화가 중요하다.” _ 박준흠
2. 로엔엔터테인먼트 신원수 대표
- “창조적인 사람은 비즈니스를 잘하는 사람과 결합해야 한다.” _ 박준흠
3. JYP엔터테인먼트 정욱 대표
- “어렸을 때 음악의 세례를 받고 살았고, 음악이 생활을 윤택하게 해줬고, 지금도 그렇다.” _ 박준흠
[특집]
대중음악 전문인력 수요조사
- 음악산업 각 분야(기획, 경영, 연구, 정책, 무대기술 등) 전문인력 양성 학제(가칭 '대중음악학과' 또는 ‘음악산업학과’)를 새롭게 만들기 위한 기획조사
서문
- 다들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없는 ‘대중음악학과/음악산업학과’. 그렇다면 현재 음악산업 전문인력 양성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_ 박준흠
Ⅰ. 대중음악 전문인력 수요조사 설문/응답자
- 음악산업 각 분야(기획, 경영, 연구, 정책, 무대기술 등) 전문인력 양성 학제 연구
Ⅱ. 대중음악 전문인력 수요조사 설문 분석
- 음악산업 각 분야(기획, 경영, 연구, 정책, 무대기술 등) 전문인력 양성 학제에 관한 각계 의견
Ⅲ. 대중음악 기획, 경영, 정책, 무대기술 관련 인터뷰
- 전문인력 양성 학제(대중음악학과/음악산업학과)의 필요성과 현장 적용에 관한 전문가 심층 인터뷰
▶ 종합음악기획
- 성기완(로엔엔터테인먼트 투자유통사업부 부장) _ 배수정
- 송동훈(CJ E&M 음악부문 투자제작사업부 부장) _ 홍정택
▶ 음반기획
- 고건혁(붕가붕가레코드 대표) _ 이영규
- 김병찬(플럭서스뮤직 대표) _ 홍정택
- 박성진(JYP엔터테인먼트 크리에이티브팀 팀장) _ 최지연
- 윤석준(빅히트엔터테인먼트 전략기획/음악제작 이사) _ 배수정
▶ 음반직배사업
- 이세환(소니뮤직 뉴비즈니스 과장) _ 최지연
▶ 공연?축제기획
- 이종현(마스터플랜 뮤직그룹 대표) _ 권석정
- 최성욱(PMC네트웍스 대표) _ 권석정
- 하종욱(공연기획자, 칼럼니스트) _ 배수정
▶ 공연장사업
- 조성진(C3엔터테인먼트 대표) _ 권석정
▶ 공연유통
- 박정수(인터파크INT 콘서트팀 팀장) _ 이영규
▶ 복합문화공간
- 김진희(KT&G 상상마당 공연사업팀 팀장) _ 최지연
▶ 포털사이트 음악사업부문
- 우승현(NHN 네이버뮤직 뮤직서비스팀 부장) _ 배수정
- 조은영(다음커뮤니케이션 다음뮤직 과장) _ 배수정
▶ 온라인 음악아카이브
- 류형규(매니아디비 운영자) _ 홍정택
▶ 방송국
- 박현호(MBC MUSIC 센터장) _ 배수정
- 정일서(KBS 라디오 음악PD) _ 이영규
▶ 음악잡지
- 김광현(재즈피플 편집장) _ 이영규
▶ 무대기술
- 박권일(KBS 탑밴드 음악감독) _ 배수정
▶ 레코딩스튜디오
- 최정훈(오디오가이 대표) _ 최지연
▶ 정부기관 대중음악정책
- 신종필(문화체육관광부 대중문화산업팀 팀장) _ 최지연
[기획]
1. [연재] 대중음악SOUND에 물어보세요 1 : 인디 레이블 운영 실무
- 투자진행, A&R, 제작, 디자인, 홍보, 유통, 재무 등 _ 고건혁(붕가붕가레코드 대표)
2. [연재] 진귀한 한국 대중음악 유물탐방 4 : 1950년대의 놀라운 픽쳐 유성기 음반
- 60년대에 각종 기념물로 일반에 널리 애용되던 픽쳐 디스크는 70년대에 자취를 감춤 _ 최규성(대중문화평론가)
3. 한국 대중음악 걸 그룹 계보학
- 저고리씨스터에서 소녀시대까지 _ 최규성(대중문화평론가)
4. 일렉트로닉 뮤직 페스티벌
- 2000년대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양대 흐름 : 록, 일렉트로닉 _ 배수정(대중음악 연구자)
[뉴스]
1. 록/헤비메탈 전문지 파라노이드(Paranoid) 창간 ! _ 송명하(파라노이드 편집장)
2. 12지신(12G神) 콘서트 _ 최규성(대중문화평론가)
3. 지산밸리록페스티벌 VS 슈퍼소닉페스티벌 _ 박창현(SOUND 사진작가)
교육용 로봇콘텐츠 프로듀서 되기

도서명 : 교육용 로봇콘텐츠 프로듀서 되기
저자/출판사 : 한정혜, 성안당
쪽수 : 364쪽
출판일 : 2011-01-05
ISBN : 9788931532272
정가 : 29000
머리말
Chapter 1. 교육 서비스 로봇과 로봇 콘텐츠
section 1. 교육용 로봇
section 2. 인간과 로봇 상호작용 모델
section 3. 로봇보조학습
section 4. 로봇 서비스와 로봇 콘텐츠
section 5. 로봇 콘텐츠 개발 단계
section 6. 연습문제
Chapter 2. 로봇 표현툴 소개
section 1. 표현툴 종류
section 2. 펠리카노이드와 로보이드 스튜디오
section 3. 아이로비큐와 ROCOS
Chapter 3. 펠리카노이드와 펭귄의 대화
section 1. 멀티미디어 기반 메시지 시나리오
section 2. 로봇 콘텐츠 만들기
section 3. 연습문제
Chapter 4. 장구수업 보조하는 동키
section 1. 멀티미디어 기반 메시지 시나리오
section 2. 로봇 콘텐츠 만들기
section 3. 연습문제
Chapter 5. 문제선생님 동키
section 1. 멀티미디어 기반 메시지 시나리오
section 2. 로봇 콘텐츠 만들기
section 3. 연습문제
Chapter 6. 지휘자 동키와 펠리카노이드 합창단
section 1. 멀티미디어 기반 메시지 시나리오
section 2. 로봇 콘텐츠 만들기
section 3. 연습문제
Chapter 7. 자기 소개하는 아이로비큐
section 1. 멀티미디어 기반 메시지 시나리오
section 2. 로봇 콘텐츠 만들기
section 3. 연습문제
Chapter 8. 댄싱 퀸 아이로비
section 1. 멀티미디어 기반 메시지 시나리오
section 2. 로봇 콘텐츠 만들기
section 3. 연습문제
Chapter 9. 마법사 아이로비
section 1. 멀티미디어 기반 메시지 시나리오
section 2. 로봇 콘텐츠 만들기
section 3. 연습문제
Chapter 10. 아이로비큐 내 맘대로 움직이기
section 1. 로봇 컨트롤러 이용하기
section 2. 시나리오 기반 아이로비 제어하기
section 3. 연습문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