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h My Image(오 마이 이미지) 또는 동북아 다자안보협의체를 위한 새로운 도전
땅끝
2025-05-09 07:09
1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8회 연결
본문
Oh My Image(오 마이 이미지)

도서명 : Oh My Image(오 마이 이미지)
저자/출판사 : 박선영, 미니멈
쪽수 : 292쪽
출판일 : 2012-09-17
ISBN : 9788996417323
정가 : 17000
책머리에 / 유미가연
추천의 글
PART 1 내 안에 숨겨진 나 IMAGE MAKING
1. 올 댓 이미지 메이킹
PART 2 이미지 메이킹의 시작 SKIN CARE & MAKEUP
1. 기초공사 SKIN CARE
매일매일 달라지는 내 피부 / 매일매일 좋아지는 내 피부 / 매일매일 예뻐지는 내 피부
2. 피부 액세서리 화장품
메이크업의 기초공사, 베이스 메이크업 / 눈길을 사로잡는 아이 메이크업 / 시선이 머무는 립 메이크업 / 생기를 만드는 치크 메이크업
3. MAKEUP 도구
4. 워너비 MAKEUP
PART 3 분위기 메이커 HAIR CARE & HAIR STYLE
1. 기초공사 HAIR CARE
매일매일 좋아지는 머릿결 / 매일매일 미용실 다녀온 듯
2. 헤어제품 HAIR ITEM
샴푸ㆍ린스ㆍ트리트먼트 / 스타일링 아이템
3. HAIR STYLE 도구
4. 나만의 맞춤 헤어스타일
얼굴형에 어울리는 헤어스타일 / 머릿결에 맞는 헤어스타일 / 피부톤에 어울리는 헤어 색상
5. 워너비 HAIR STYLE
인상을 만드는 앞머리 / 여성스러운 업스타일 / 분위기 있는 아이론 스타일 / 단점을 가려주는 스타일 / 특별한 순간을 위한 스타일
PART 4 나만의 숨겨진 색, PERSONAL COLOR
1. 기초공사 PERSONAL COLOR
퍼스널 컬러 진단법 / 나의 타고난 색, 퍼스널 컬러 / 내 퍼스널 컬러에 맞는 컬러 설계
2. COLOR IMAGE
빨간색 Red / 갈색 Brown / 보라색 Violet / 오렌지색 Orange / 노란색 Yellow / 초록색 Green / 파란색 Blue / 회색 Grey / 흰색 White / 검은색 Black
PART 5 무한대의 이미지 변신, FASHION & ACCESSORY
1. 기초공사 BODY CARE
나의 체형 판별하기 / 내 체형에 맞는 코디네이션 포인트 / 매일매일 만드는 나의 S라인
2. FASHION STYLE 노하우
BASIC 아이템에 투자하라 / 다양한 프린트와 컬러 매치로 스타일 UP
3. 작지만 강력한 패션 소품
반짝반짝 액세서리 / 여자의 자존심, 가방 / 좋은 곳으로 데려다줘요, 구두 / 시선을 내게로, 모자와 헤어밴드 / 몸의 비례를 바꾸는 마법, 벨트 / 옷 위에 스타일을 그리는 스카프 / 그 외의 패션 친구들
4. FASHION, 나를 말하다
명함보다 빠른 패션 / 패션으로 빛나는 나이 / 사랑스러운 낮, 화려한 밤
동북아 다자안보협의체를 위한 새로운 도전

도서명 : 동북아 다자안보협의체를 위한 새로운 도전
저자/출판사 : 강병철, 한국학술정보
쪽수 : 386쪽
출판일 : 2012-08-10
ISBN : 9788926835715
정가 : 25000
머리말
제1장 서론
제1절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은 가능한가?
제2절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제주프로세스
제3절 선행 연구의 검토
1.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2. 제주프로세스
제4절 책의 범위와 구성
제2장 국제레짐과 협력안보, 그리고 다자안보협의체: 이론적 논의
제1절 안보 개념의 변화와 다자주의
1. 안보 개념의 변화
2. 다자주의와 국제제도
제2절 국제레짐의 개념과 이론
1. 국제레짐의 개념적 특징
2. 국제레짐에 대한 이론적 시각
제3절 협력안보레짐
1. 협력안보의 대두
2. 협력안보의 개념
3. 협력안보레짐
제4절 분석 틀: 동북아 다자안보협의체 형성의 구도
제3장 유럽의 경험: 헬싱키프로세스의 형성과 발전
제1절 역사적 배경: 국제환경 변화
제2절 헬싱키프로세스의 전개과정
1. 헬싱키프로세스의 태동: CSCE의 출범
2. CSCE의 발전
3. 탈냉전과 CSCE의 성숙, 그리고 OSCE로의 진화
4. OSCE의 정착과 유럽의 안정과 평화
제3절 헬싱키프로세스의 권력-이익-정체성의 상호작용
1. 국가 간 권력관계: 세력균형
2. 국가 이익의 분포: 이익균형
3. 지역정체성과 가치체계: 국제규범
제4절 ‘헬싱키프로세스’의 형성과 발전의 함의
제4장 동북아의 경험: 동북아 다자안보협의체 평가
제1절 역사적 배경: 국제환경 조건의 지속성과 변화
제2절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의 구상과 실험
1. 냉전 전후의 다자안보 제안과 성과
2.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현황
3. 동북아 다자안보협의체의 구상과 실험 사례
제3절 동북아 다자안보협의체 형성의 한계 요인
1. 국가 간 권력관계: 세력불균형과 다자안보
2. 국가이익의 분포: 이익 불균형
3. 지역정체성과 가치체계: 국제규범의 미확립
제4절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사례에 대한 평가와 함의
제5장 제주프로세스 구상과 유럽ㆍ동북아 경험의 함의
제1절 제주프로세스의 필요성
제2절 제주프로세스 구상
1. 제주포럼: 제주프로세스 구상의 산실
2. 제주프로세스 구상
제3절 제주프로세스의 추진 배경
1. 중앙정부 차원: 동북아 평화번영정책
2. 지방정부 차원: 세계평화의 섬 지정
제4절 동북아 및 유럽의 경험과 제주프로세스
1.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실험의 한계
2. 헬싱키프로세스의 경험적 함의: 비교적 시각
3. 헬싱키프로세스가 제주프로세스에 주는 함의
제6장 제주프로세스 실현의 조건과 과제 및 전략
제1절 제주프로세스 구상의 실현 조건: 거시적 국제환경
1. 힘의 분포: 세력균형
2. 이익의 분포: 이익 균형 또는 이해관계의 수렴
3. 공동규범과 정체성 확보
제2절 6자회담의 진전
1. 6자회담의 전개과정
2. 6자회담의 전망
제3절 제주프로세스의 전략 목표와 의제
1. 제주프로세스의 목표
2. 제주프로세스의 내용과 핵심의제
제4절 제주프로세스의 추진 전략
1. 제주프로세스 추진의 전제와 원칙
2. 제주프로세스 추진을 위한 기본 전략
3. 제주프로세스 실행 전략
4. 제주프로세스의 전략적 과제와 제주의 역할
제7장 요약 및 결론
제1절 논의의 요약
제2절 정책적 제언과 이론적 함의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