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배우는 프로그래밍 구조 또는 열국영웅전. 1: 제후굴기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그림으로 배우는 프로그래밍 구조 또는 열국영웅전. 1: 제후굴기

땅끝
2025-01-04 07:51 233 0

본문




그림으로 배우는 프로그래밍 구조
9788931465594.jpg


도서명 : 그림으로 배우는 프로그래밍 구조
저자/출판사 : 마스이 토시카츠, 영진닷컴
쪽수 : 240쪽
출판일 : 2021-08-25
ISBN : 9788931465594
정가 : 16000

Chapter 1 프로그래밍 기초 지식
1-1 프로그래밍을 둘러싼 환경
1-2 프로그래밍이 동작하는 환경
1-3 누가 프로그램을 만드는가?
1-4 프로그래밍에 관한 업계의 차이
1-5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직종의 차이
1-6 프로그래머의 근무 형태
1-7 소프트웨어 개발 공정
1-8 소프트웨어 개발의 흐름
1-9 개발(구현) 공정에서 할 일
1-10 팀으로 개발하는 여러 가지 방법
1-11 개발한 프로그램 공개하기
1-12 프로그래밍 학습 방법

Chapter 2 프로그래밍 언어의 차이
2-1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2-2 사람과 컴퓨터가 이해하기 쉬운 표현
2-3 프로그래밍 언어의 분류
2-4 선언형 프로그래밍
2-5 가볍게 쓸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2-6 프로그래밍 언어 비교 1
2-7 프로그래밍 언어 비교 2
2-8 프로그래밍 언어 비교 3
2-9 어디서든 동작시킬 수 있게 하는 기술
2-10 프로그래밍 언어 선택 방법
2-11 입력과 출력
2-12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환경

Chapter 3 수치와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
3-1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숫자
3-2 2진수를 이용하는 처리
3-3 계산의 기본을 이해한다
3-4 컴퓨터에 기억시킨다
3-5 수학에서 사용하는 ‘=’과의 차이점
3-6 읽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이름
3-7 컴퓨터로 숫자를 다룬다
3-8 같은 형의 데이터를 모아서 다룬다
3-9 컴퓨터로 문자 다루기
3-10 한글을 다룰 때 주의할 점
3-11 복잡한 데이터 구조 표현
3-12 다른 형도 다룰 수 있게 한다
3-13 배열을 번호가 아닌 이름으로 다룬다
3-14 메모리 구조를 이해하고 데이터 다루기
3-15 데이터를 순서대로 탐색하는 자료 구조
3-16 데이터를 순서대로 처리하기
3-17 계층 구조로 데이터 다루기

Chapter 4 흐름도와 알고리즘
4-1 처리의 흐름을 그려본다
4-2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한다
4-3 같은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4-4 일련의 처리를 묶어서 다룬다
4-5 함수에 파라미터를 넘겨준다
4-6 변수의 유효범위를 결정한다
4-7 파라미터를 바꾸면서 같은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4-8 예상 밖의 사태에 대응한다
4-9 반복 처리를 다룬다
4-10 필요 없는 메모리를 해제한다
4-11 정렬의 기본을 배운다
4-12 구현하기 쉬운 정렬 방법을 알아본다
4-13 정렬을 고속화한다
4-14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알아본다
4-15 배열 리스트에서 원하는 값을 찾는다
4-16 트리 구조를 순서대로 따라가며 탐색한다
4-17 어떤 문자열에서 다른 문자열을 찾는다

Chapter 5 설계부터 테스트까지
5-1 읽기 쉬운 소스 코드를 작성한다
5-2 소스 코드를 작성하는 규칙을 정한다
5-3 구현 오류를 제거한다
5-4 요구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5-5 테스트 방법을 이해한다
5-6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을 학습한다
5-7 버그를 발견하고 관리한다
5-8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지 않고 검증한다
5-9 소프트웨어의 기획부터 이용 종료까지 생각한다
5-10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자동화한다
5-11 동작을 바꾸지 않고 소스 코드를 정리한다
5-12 자동 테스트를 전제로 개발을 진행한다
5-13 데이터의 구조와 흐름을 자동화한다
5-14 컴파일을 자동화한다
5-15 객체 지향의 기본 사고방식
5-16 클래스의 속성을 물려받는다
5-17 클래스를 구성하는 데이터와 조작을 다룬다
5-18 필요한 정보와 메소드만 외부에 공개한다
5-19 같은 이름의 메소드를 만든다
5-20 객체 지향 개발에 이용되는 모델링 기법
5-21 복수의 오브젝트의 관계성을 생각한다
5-22 관련된 클래스를 모은다
5-23 객체 지향으로 다루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한다
5-24 고객과 개발자가 공통된 언어를 사용한다
5-25 오브젝트의 초기화와 해제
5-26 개발 진척도를 관리한다

Chapter 6 웹 기술과 보안
6-1 웹 기초 지식
6-2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기능의 집합체
6-3 웹사이트의 디자인을 변경한다
6-4 같은 이용자를 식별한다
6-5 인터넷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6-6 GUI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분할한다
6-7 HTML 등의 요소를 조작한다
6-8 웹브라우저로 동적인 제어를 간단히 수행한다
6-9 웹에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
6-10 정합성을 유지한 상태로 데이터를 다룬다
6-11 데이터의 정합성을 확보하는 기술
6-12 서버를 빌려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6-13 클라우드 기술의 서비스 형태
6-14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를 실현한다
6-15 OS와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호출한다
6-16 버전 관리 시스템
6-17 무료로 공개된 소스 코드
6-18 다른 사람의 프로그램을 원래대로 되돌린다
6-19 보안 문제에 관한 이해




열국영웅전. 1: 제후굴기
9791165529635.jpg


도서명 : 열국영웅전. 1: 제후굴기
저자/출판사 : 양승국, 지식과감성
쪽수 : 475쪽
출판일 : 2021-07-31
ISBN : 9791165529635
정가 : 25000

제1장 천하대란天下大亂
- 포사의 웃음 속에 피어오르는 천하대란의 전운 -
1. 국인폭동(國人暴動)
- 학정을 행하다가 국인폭동으로 쫓겨나는 주여왕(周?王) -
2. 공화중흥(共和中興)
- 공화를 끝내고 주나라를 중흥시킨 주선왕 -
3. 망국지조(亡國之兆)
- 망국의 징조 -
4. 용시정령(龍?精靈)
- 용의 침으로 잉태되어 태어나는 포사(褒?) -
5. 경살무고(輕殺無辜)
- 죄 없는 신하를 함부로 죽이다 -
6. 화려명원(化??寃)
- 무서운 원귀(寃鬼)가 되어 원수를 갚은 두백(杜伯)과 좌유(左儒) -
7. 혼군사위(昏君嗣位)
- 혼군이 천자의 자리에 오르다 -
8. 지진의정(地震議政)
- 천재로 폐허가 된 나라에 미녀만을 구하는 주유왕 -
9. 속죄헌미녀(贖罪獻美女)
- 미인을 바쳐 죄를 용서받다 -
10. 포사득총(褒?得寵)
- 궁궐로 들어가 주유왕의 총애를 받게 된 포사 -
11. 소반지변(小弁之變)
- 포사를 총애하여 태자와 왕비를 바꾸다 -
12. 봉화희제후(烽火戱諸侯)
- 봉화를 올려 제후들을 희롱하다 -
13. 신망국파(身亡國破)
- 몸은 죽고 나라는 망하다 -
14. 사로제후(四路諸侯) 근왕흥병(勤王興兵)
- 왕성을 구하기 위해 출동하는 사로제후들 -
15. 동천낙읍(東遷洛邑)
- 동쪽의 낙읍으로 나라를 옮기다 -

제2장 제후굴기諸侯起
- 일어서는 제후들 -
1. 진국연원(秦國淵源)
- 섬진국(陝秦國)의 연원 -
2. 열위제후(列爲諸侯)
- 주나라의 동천을 도와 제후의 반열에 오른 진양공(秦襄公) -
3. 사철공부(駟?孔阜)
- 네 필의 검은 말이 우람하기도 하네! -
4. 응몽교천(應夢郊天)
- 꿈속에서 계시를 받아 백제사(白帝祠)를 짓고 교천제를 지내 천자의 꿈을 잉태시키는 진문공(秦文公) -
5. 정환시봉(鄭桓始封)
- 정나라에 책봉되는 정환공(鄭桓公) 희우(姬友) -
6. 공벌호국(攻伐胡國)
- 정무공이 호나라를 병탄하다 -
7. 편애지화(偏愛之禍)
- 편애의 비극 -
8. 굴지현모(掘地見母)
- 지하에 황천(黃泉)을 만들어 모친과 상봉하는 정장공 -
9. 정위교병(鄭衛交兵)
- 정·위 두 나라의 싸움으로 천하대란의 막이 오르다 -
10. 주정교질(周鄭交質)
- 천자국과 제후국이 인질을 교환하다 -
11. 도할맥화(盜割麥禾)
- 천자국의 경계를 침범하여 곡식을 약탈하는 정나라 -
12. 석문지맹(石門之盟)
- 석문에서 공수동맹을 맺은 정(鄭)과 제(齊) 두 나라 -
13. 이간송진(離間宋陳)
- 진나라를 이간시켜 송나라를 고립시키다 -
14. 가명벌송(假命伐宋)
- 천자의 명을 도용하여 송나라를 정벌하는 정장공 -
15. 투습형양(偸襲滎陽) 해위송도(解圍宋都)
- 정나라 형양을 기습하여 수양성에 대한 포위망을 풀다 -
16. 휼방상지(鷸蚌相持) 어부지리(漁父之利)
- 남의 분쟁을 이용하여 어부지리를 취하는 정장공 -
17. 쟁거비무(爭車比武)
- 무예를 겨루어 수레를 다투는 정나라의 장수들 -
18. 투현사사(?賢射死)
- 현자를 질투하여 활로 쏘아 죽이는 공손알 -
19. 헌첨시군(獻諂弑君)
- 아첨이 먹히지 않자 노은공(魯隱公)을 시해한 공자휘 -
20. 이유파융(利誘破戎)
- 이(利)로써 유인하여 융병을 물리치는 정세자 홀(忽) -
21. 반고사혼(攀高辭婚)
- 정세자 홀이 분수에 맞지 않는 대국과의 혼사를 사양하다 -
22. 전사천자(箭射天子)
- 천자를 활로 쏘아 부상을 입히다 -
23. 음렵피주(淫獵被誅)
- 사냥에 탐닉하다 살해당한 진여공(陳?公) 타(?) -
24. 포사오국(怖死誤國)
- 죽음을 두려워하여 나라를 그르치다 -
25. 피협입서(被脅立庶)
- 송나라의 협박에 굴하여 서출을 군주로 세우는 정나라 상경 채족 -
26. 탐뢰구병(貪賂?兵)
- 재물을 탐하여 병화를 불러들이는 송장공 -
27. 구기지전(救紀之戰)
- 기나라를 구원하는 전쟁이 칠국의 국제전으로 번지다 -
28. 채족천권(祭足擅權)
- 정나라의 상경 채족이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르다 -
29. 친부해부(親父害夫)
- 부친을 도와 지아비를 죽이는 옹희(雍姬) -
30. 살서축주(殺胥逐主)
- 사위를 죽이고 군주를 쫓아낸 채족 -
31. 승간역군(乘間易君)
- 기회를 틈타 군주를 바꾼 정나라의 고거미 -
32. 군신위륙(君臣爲戮)
- 제양공이 파 놓은 함정에 빠져 살해당하는 정나라의 군주와 신하 -
33. 금장복국(擒將復國)
- 적장을 포로로 잡아 정백의 자리에 다시 오른 정여공 -
34. 살퇴반정(殺頹反正)
- 왕자퇴의 난을 평정하고 천자를 복위시키다 -

제3장 초자참왕楚子僭王
- 참람하게 왕호를 칭하는 초나라 -
1. 초국기원(楚國起源)
- 형만의 땅에서 일어서는 초나라 -
2. 강이시약(强以示弱) 마비대방麻痺對方)
- 강한 군사는 숨기고 약한 군사를 보여 상대방을 속이다 -
3. 초자참왕(楚子僭王)
- 자작(子爵)의 초군(楚君)이 왕호를 칭하다 -
4. 포소지전(蒲騷之戰)
- 초나라의 막오(莫敖) 굴하(屈瑕)가 포소에서 오국 연합군을 무찌르다 -
5. 쟁미강초(爭媚强楚) 쌍쌍수해(雙雙受害)
- 초나라 받들기를 다투다가 나라를 망친 식·채(息蔡) 두 나라 -
6. 병간군왕(兵諫君王) 자장시징(自?示懲)
- 칼을 들어 군왕에게 간하고 자기 다리를 잘라 스스로를 벌하다 -
7. 배주로식규(杯酒虜息?)
- 술잔을 따르던 식규를 잡아 부인으로 삼은 초문왕 -
8. 식규입초(息?入楚) 맥맥무언(脈脈無言)
- 초나라의 왕비가 되어 가슴속에 말을 묻고 산 식규(息?) -
9. 육권겁왕(?拳劫王)
- 초왕을 겁박하여 황나라를 정벌하게 만든 육권 -
10. 시형자립(弑兄自立)
- 형을 죽이고 스스로 왕좌를 차지한 초성왕(楚成王) 웅운(熊?) -
11. 현문불발(懸門不發) 공성설의(空城設疑)
- 성문을 닫지 않고 공성계를 행하여 초군을 물리친 정나라 -
12. 자원지란(子元之亂)
- 자원의 난을 진압하는 투씨(鬪氏)들 -
13. 호유자문(虎乳子文)
- 호랑이가 버려진 자문을 구해 젖을 먹여 키우다 -
14. 자문상초(子文相楚)
- 자문(子文) 투누오도(鬪穀於兎)가 재상이 되어 초나라를 크게 일으키다 -
15. 무례불몰(無禮不沒)
- 인륜의 예를 저버린 자는 명을 다하지 못하고 죽게 되는 법이다 -
16. 성복패적(城?敗積)
- 당진국과 중원의 패권을 놓고 겨루다가 패전하다 -
17. 웅호지상(熊虎之相) 시랑지성(豺狼之聲)
- 곰과 호랑이 상에 승냥이와 이리의 목소리를 한 투월초로 인해 투씨들의 멸족을 예언한 자문(子文) -

제4장 축대납식 형제쟁사 築臺納 兄弟爭死
- 신대를 지어 며느리를 빼앗아 부인으로 삼고 형제는 대신 죽으려고 서로 다투다 -
1. 강숙입국(康叔立國)
- 강숙이 은나라의 고토인 위(衛)나라에 봉해지다 -
2. 총과필교(寵過必驕), 교필생란(驕必生亂)
- 총애가 지나치면 교만하게 되고 교만은 필시 난의 원인이 되는 법이다 -
3. 살형탈위(殺兄奪位)
- 형을 죽이고 군주의 자리를 빼앗다 -
4. 입위압중(立威壓衆)
- 전쟁을 일으켜 위세를 보여 백성들의 입을 막으려는 주우 -
5. 조역흥병(助逆興兵)
- 역신을 도와 군사를 일으켜 정나라를 공격하는 사로 제후군 -
6. 투이퇴적(投?退?)
- 미끼를 던져 명분을 주어 오국 연합군을 물리치다 -
7. 조호이산(調虎離山) 차도금적(借刀擒賊)
- 산을 떠나게 한 호랑이를 남의 칼을 빌려 포획하다 -
8. 대의멸친(大義滅親)
- 자식을 죽여 대의를 행하다 -
9. 축대납식(築臺納?)
- 며느리를 가로채 신대(新臺)를 짓고 부인으로 삼은 위선공 -
10. 이자승주(二子乘舟) 범범기경(泛泛其景)
- 두 형제가 배를 타고, 유유히 경치를 즐기며 흘러가네 -
11. 형제쟁사(兄弟爭死)
- 대신 죽기를 서로 다투는 형제들 -
12. 자증서모(子蒸庶母)
- 서모를 부인으로 취한 위선공의 아들 공자석(公子碩) -
13. 항왕입국(抗王入國)
- 천자에 항거하여 위나라 군주 자리를 다시 찾은 위혜공 -
14. 호학망국(好鶴亡國)
- 학에 탐닉하다가 나라를 망해 먹은 위의공(衛懿公) -
15. 홍연납간(弘演納{肝)
- 자신의 몸을 관으로 만들어 위후의 간을 보전한 홍연(弘演) -
16. 재치재구(載馳載驅)
- 수레를 달리고 또 달려라! -
17. 익수원수(溺水援手)
- 공을 높이기 위해 형국이 망할 때까지 기다린 제환공 -
18. 투아모과(投我木瓜) 보이경거(報以??)
- 나에게 모과를 던져 주시니 귀중한 패옥으로 보답하리다 -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