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투자 전쟁 또는 영의정 실록. 3
땅끝
2025-01-04 07:51
165
0
본문
반도체 투자 전쟁

도서명 : 반도체 투자 전쟁
저자/출판사 : 김영우, 페이지2북스
쪽수 : 280쪽
출판일 : 2021-06-21
ISBN : 9791190977272
정가 : 17000
프롤로그 엄청난 변화는 엄청난 기회를 불러올 것이다
PART 1 탈세계화 시대의 도래
■ 세계화와 반도체 산업
■ 세계화 시대: 중국의 부상
■ 탈세계화 시대의 G2: 냉전(Cold War)
제조업의 중요성을 일깨워준 코로나19 / 미래 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시킨 코로나19 / 미국과 중국의 산업 주도권 경쟁 / 탈세계화로의 전환: 글로벌 공급망의 확장성 둔화 / 승자독식, Winner takes it all / 미국 vs. 중국의 불가피한 배타성: 반도체 자력갱생
PART 2 반도체 산업의 구조와 본질
■ 반도체 산업의 분류
메모리 반도체 vs. 시스템 반도체 / 메모리 반도체의 중심: 디램과 낸드 / 과점화되어가는 메모리 반도체 산업, 판을 흔들려는 중국
■ 시스템 반도체 산업의 분업 구조
팹리스, 파운드리, OSAT / 시스템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협업 구조와 부가가치 창출 / 8인치(200㎚) vs. 12인치(300㎚)
PART 3 중국의 대미 선전 포고, Made in China 2025
■ 중화인민공화국의 역대 경제 정책
■ 시진핑이 마주한 2012년의 중국
■ 시진핑의 중국몽과 두 개의 백 년
■ 중국제조 2025에 드러난 중국의 미래 전략
■ 중국의 신인프라 투자 전략, 신지젠
■ 신지젠 다음 단계는 신비즈니스
PART 4 미국, 전면전에 나서다
■ 미국의 강력한 공습: 화웨이의 추락
사상 초유의 제재를 당한 화웨이/ 스마트폰 시장에서 사라져가는 화웨이
■ 피할 수 없는 하이실리콘의 퇴출
■ 미국의 승리로 끝난 1차전, 흔들리는 중국 반도체 산업
■ 더욱 높아지는 한국과 대만 의존도
■ 반도체 굴기를 포기할 수 없는 중국
PART 5 중국의 2차 반도체 굴기
■ 포기할 수 없는 중국
정부 주도의 미국 따라 잡기
■ 미국에 대항하는 중국의 빅 피처, 쌍순환
■ 투자할 돈이 부족한 중국
개별 기업 측면 / 중국 경제 측면
■ 중국의 선택과 집중
■ 반도체 굴기를 위한 중국의 노력
■ 중국 반도체의 성과와 과제
■ 현금 살포가 아닌 선택과 집중
PART 6 미국의 반도체 제조 굴기
■ 탈세계화 시대의 G2: 미국의 전략과 과제
■ 미국의 최우선 과제
낙후된 인프라 개선 / 부진한 리쇼어링 정책과 제조 부문의 공동화
■ 코로나19가 불러온 반도체 공급 부족
■ 반도체 제조 부문에 대한 미국의 위기의식
■ 총소유비용 관점에서 본 반도체 팹의 조건
■ 획기적으로 증가할 미국의 국가 반도체 R&D
■ 미국의 최대 리스크, 대만
도련선 / 중요한 변화 / 유령함대 전략의 등장과 드러난 약점
■ 중국보다 강한 미국의 반도체 제조 굴기
■ 미국의 최종 목표는?
PART 7 남겨진 과제, 생산성
■ 산업혁명과 생산성
■ 미국의 또 다른 약점: 높은 인건비와 낮은 생산성
■ 5G+MEC 기반의 AI 시대가 열린다
클라우드의 3대 문제점 / 모바일 엣지컴퓨팅을 위한 기본 구조 / 비대면 시대의 중심으로 부상한 메타버스 / 인프라와 워크플로우(workflow) 변화에서 시작될 미국의 생산성 혁명
PART 8 반도체 전쟁의 미래
■ 격변기를 맞이한 반도체 산업 ㆍ 219
모빌리티, 클라우드, 인공지능이 이끄는 강력한 수요 / 길게 이어질 강력한 설비 투자 / 2026년까지 미국으로 집중될 신규 하이엔드 파운드리 공장
■ 가장 먼저 5G+MEC를 준비한 중국의 몰락 ㆍ 225
■ 밀려나는 화웨이+하이실리콘, 글로벌 M&A의 도화선이 되다 ㆍ 228
■ 완전한 생태계를 원하는 미국 ㆍ 233
■ Winner’s Club ㆍ 235
미국 내 생산 시설을 보유한 기업들 / 인텔의 제조 역량 강화와 미국 반도체 제조 굴기의 접점 / TSMC와 삼성전자 / 글로벌 반도체 장비업체 / 반도체 부품과 소재 / OSAT 및 관련 장비 시장 / 화합물 반도체 시대가 다가온다
PART 9 새로운 시대, 새로운 역할
■ 큰 정부(Big Government) 시대의 부활
■ 산업 구조를 보면 미국의 정책이 보인다
■ 미국이 메모리 반도체 산업에 미칠 영향
■ 반도체 공급 부족의 끝과 맞닿은 미국 반도체 굴기
■ 투자자들에게 찾아온 커다란 기회
■ 진정한 슈퍼 사이클은 이제 시작
■ 위기를 기회로 변화시켜야 하는 한국
부록
■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부가가치 창출 구조(2019년 기준)
■ 글로벌 반도체 주요 국가별 생산 분포
■ 주요 지역별 반도체 생산 능력(2020년)
■ 미중 무역 분쟁에 대한 유럽 및 일본 반도체 기업들의 대응
■ 반도체 기업들의 밸류에이션
영의정 실록. 3

도서명 : 영의정 실록. 3
저자/출판사 : 박용부, 지식공감
쪽수 : 526쪽
출판일 : 2022-01-13
ISBN : 9791156226437
정가 : 20000
일러두기 12
[서언] 조선의 역사를 바꾸어 놓은 인수대비와 한명회 14
세조 시대 二
28. 최항 -거사 당일 숙직한 일이 공신이 되다
영의정이 된 근원 - 3대공신(정난·좌익·좌리공신) 31
장수가 지켜야 할 본분 어제유장을 짓다 36
최항의 졸기 39
29. 조석문 - 4대공신 출신에 회계전문가
영의정이 된 근원 - 4대공신(좌익·적개·익대·좌리공신) 44
조석문의 졸기 53
30. 이준 - 28세의 최연소 영의정
영의정이 된 근원 - 임영대군의 아들, 이시애의 난을 토벌하다 58
세조가 극진히 총애한 귀성군 이준 67
28세에 영의정이 되다 69
친구 남이장군, 역모에 몰려 죽다 70
세조가 죽자 귀성군 이준도 역모에 몰리다 77
졸기없는 이준의 죽음 89
예종 시대
31. 박원형 - 곧고 정직하며 청렴했던 충신
영의정이 된 근원 - 좌익·익대공신 95
상급자마다 박원형을 찾다 98
중국 사신이 인정한 박원형의 예의범절 101
경복궁의 명당설과 쇠잔설 3 107
박원형의 졸기 146
32. 홍윤성 - 장비 같은 세조의 측근 장수
영의정이 된 근원 - 세조의 측근, 정난·익대·좌익·좌리공신 150
규수를 강제로 범하려다 탄핵을 받다 154
끊이지 않았던 홍윤성의 권력형 비리 159
33세된 관찰사를 과음시켜 죽게 하다 168
홍윤성의 졸기 170
성종 시대
33. 윤자운 - 신숙주의 처남, 세조의 총애를 받다
영의정이 된 근원 - 2대공신(좌익·좌리공신)에 신숙주의 처남 177
이시애의 난에 치욕을 당하고 살아 돌아오다 178
중국사신 접대요령과 대처방법 179
사신의 북경 행차시 사치를 금하는 조항 181
사대부집 자녀의 혼인 연한을 정하다 183
윤자운의 졸기 184
34. 윤필상 - 무오사화를 주도하고, 갑자사화로 죽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재치있는 답변으로 세조의 총애를 입다 189
권신들의 인사권개입으로 이조판서직을 내던지다 191
어우동과 간통한 관리들의 처리 192
사림파의 탄핵을 받고 사림파와 등을 지다 195
무오사화를 주도하다 198
갑자사화를 당하다 200
윤필상의 졸기 204
35. 이극배 - 여주 세종왕릉 자리를 물려준 이인손의 아들
영의정이 된 근원 - 청백리에 좌익·좌리공신 209
수령의 범법행위 조사를 위한 항목 212
상피제도와 4명의 형제들 213
이극배의 졸기 216
연산군 시대
36. 노사신 - 세종의 처조카로 세조의 총애를 받다
영의정이 된 근원 - 탄탄한 실력에 왕실과의 인척 225
세조의 각별한 총애를 받은 노사신 227
명나라 사신 접대와 건배 횟수 229
영의정 소임과 탄핵상소 232
노사신의 졸기 235
37. 신승선 - 연산군의 장인
영의정이 된 근원 - 2대 공신(익대·좌리공신)에 연산군의 장인 241
연산군이 즉위하여 대간의 말을 문제삼다 243
사간이 3정승을 논평하며 요순 같은 임금이 될 책략을 올리다 245
신승선의 졸기 252
38. 한치형 - 공녀로 바쳐진 고모가 중국 황실의 후궁이 되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좌리공신 3등, 인수대비의 사촌오빠 257
명나라에 오는 사신은 한씨로 보내라고 요구하다 259
연산에게 소비절약과 시정폐단을 건의하다 264
한치형의 졸기 267
사후에 연산에 앙갚음을 당하고 중종에 의해 복관되다 268
39. 성준 - 세종이후 사림 출신 첫 영의정
영의정이 된 근원 - 예종·성종·연산군의 곧은 스승 275
세종조에도 없던 공신 수여의 부당함을 아뢰다 276
지방에 원정가서 부정시험을 치룬 임사홍의 아들을 적발하다 278
폐비윤씨 문제로 갑자사화를 당하다 282
성준의 묘비명 291
40. 유순 - 주상의 말씀이 윤당하시옵니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임금의 비위를 잘 맞추어 윤당재상이 되다 296
종친의 과거응시 문제와 부녀자의 사찰 출입문제를 논하다 298
사직서 제출과 유순에 대한 평가 301
유순의 졸기 305
중종 시대
41. 박원종 -중종반정의 주역, 무관출신 영의정
월산대군의 처남으로 성종과 연산군의 총애를 받다 313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의 주역 321
박원종의 졸기 334
42. 김수동 - 연산의 총애를 받았으나 시류를 잘 타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에 가담한 정국 2등공신 338
연산의 총애를 받았던 김수동 339
김수동의 졸기 342
43. 유순정 - 문무 겸비한 인재, 사림파로 공신에 들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 정국공신 346
문관이면서 무관 장수로 추천받았던 문무겸비한 인재 348
연산군이 강요한 충성 서약문(경서문) 353
연산군 폐위와 중종 즉위에 대한 명나라 승인 대처방안 356
연산군이 죽자 장례식 범위를 정하다 357
죄수의 보석금 제도를 곡식으로 대체하다 358
지방관청 각종 폐단 대처방안 359
유순정의 졸기 361
44. 성희안 - 연산조에 좌천되어 중종반정에 앞장서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 정국공신 365
연산군에게 지어 바친 시, 중종반정의 씨앗이 되다 368
공신책정 과정의 사연과 연산군의 처남 신수근의 처결 370
승승장구한 승진가도 373
성희안의 졸기 375
45. 송질 - 중종의 사돈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 정국공신 3등, 중종의 사돈 380
공신자의 부모 승급에 대해 논쟁이 벌어지다 381
백성들이 홍색 옷을 입는 것에 대해 논하다 382
잦은 천재지변의 원인이 각 관서의 다스림에 관련한다고 하다 383
사치스런 장례 풍속에 대해 꼬집다 392
탐욕스런 송질을 탄핵하다 393
송질의 졸기 394
사림들의 배척 395
46. 정광필 - 능력과 인품으로 자수성가 하다
영의정이 된 근원 - 능력과 인품으로 자수성가한 실력파 398
위훈삭제 처리와 재상의 역할 405
기묘사화의 발발 411
정광필의 졸기 427
47. 김전 - 청렴결백했던 영의정, 김안로의 삼촌
영의정이 된 근원 - 기묘사화 후 정승에 오르다 433
장원급제자를 목민관에 발령한 데 대한 논란 435
연산군과 단종의 후사를 세우는 문제와 점술에 대한 논의 439
서민들의 삼년상 시행 문제에 대한 논의 445
김전의 졸기 447
48. 남곤 - 기묘삼흉으로 조광조를 무함하다
영의정이 된 근원 - 기묘사화로 승진하다 452
남곤의 졸기 458
남곤 사후 41년에 밝혀진 조광조 모해사실 461
49. 장순손 - 김안로의 오른팔로 영의정에 오르다
영의정이 된 근원 - 김안로의 오른팔, 일마다 탄핵받다 466
삭탈당한 관작 478
장순손의 졸기 479
50. 한효원 - 감안로의 이웃사촌
영의정이 된 근원 - 김안로의 이웃사촌 483
나라를 다스리는 치국의 요도 484
왕세자 교육법 485
한효원의 졸기 494
51. 김근사 - 김안로의 6촌형
영의정이 된 근원 - 김안로의 6촌형 499
연산군 후궁의 집터 확장에 대해 간언하다가 유배당하다 501
권력의 끝 502
김근사의 졸기 508
52. 윤은보 - 업무에 밝고 처세에 능했던 정승
영의정이 된 근원 - 업무에 밝고 처세에 능했던 정승 513
임금에게 전복을 진상한 유자광을 뇌물죄로 틴핵하다 515
삼흉 김안로·허항·채무택의 파직 518
조선의 풍속에 대해 걱정하다 520
윤은보의 졸기 522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