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옛글의 놀라움 또는 체크체크 교과서편 국어 중 2-1(천재 박영목)(2022)
땅끝
2025-01-04 07:51
175
0
본문
우리 옛글의 놀라움

도서명 : 우리 옛글의 놀라움
저자/출판사 : 조동일, 지식산업사
쪽수 : 416쪽
출판일 : 2021-03-01
ISBN : 9788942390908
정가 : 20000
첫말 ● 4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 11
높이 12
멀리 14
가까이 16
하나씩 ● 19
● 첫째
李瀷, 〈?槃銘〉(회반명) 이익, 〈세숫대야〉 21
李德懋, 〈君子有大怒〉(군자유대로) 이덕무, 〈분노〉 22
李齊賢, 〈息影菴硯銘〉(식영암연명) 이제현, 〈벼루〉 24
曺兢燮, 〈硯滴銘〉(연적명) 조긍섭, 〈연적〉 25
李齊賢, 〈猫箴〉(묘잠) 이제현, 〈고양이〉 26
柳希春, 〈讀書銘〉(독서명) 유희춘, 〈독서〉 28
任聖周, 〈杖銘〉(장명) 임성주, 〈지팡이〉 29
金元行, 〈不能容物者〉(불능용물자) 김원행, 〈포용〉 31
安鼎福, 〈足箴〉(족잠) 안정복, 〈발〉 32
權?, 〈梳銘〉(소명) 권필, 〈빗〉 34
李奎報, 〈樽銘〉(준명) 이규보, 〈술병〉 35
魏伯珪, 〈水自下〉(수자하) 위백규, 〈물은 스스로 낮아〉 37
李達衷, 〈?若齋箴〉(척약재잠) 이달충, 〈조심하는 마음〉 38
?成俔, 〈?銘〉(구명) 성현, 〈신발〉 40
丁若鏞, 〈摺疊扇銘〉(접첩선명) 정약용, 〈접부채〉 41
申欽, 〈觀銘〉(관명) 신흠, 〈철인과 아이〉 42
李象靖, 〈心難執持〉(심난집지) 이상정, 〈마음은 잡기 어려워〉 44
李德懋, 〈?琅〉(당랑) 이덕무, 〈쇠똥구리〉 47
金樂行, 〈自警箴〉(자경잠) 김낙행, 〈경계〉 49
柳成龍, 〈日傘銘〉(일산명) 유성룡, 〈일산〉 50
姜世晃, 〈畵像自讚〉(화상자찬) 강세황, 〈화상을 스스로 기린다〉 52
李瀷, 〈鏡銘〉(경명) 이익, 〈거울〉 53
李瀷, 〈書架銘〉(서가명) 이익, 〈책꽂이〉 55
● 둘째
李奎報, 〈小硯銘〉(소연명) 이규보, 〈작은 벼루〉 58
朴仁範. 〈無?智國師影贊〉(무애지국사영찬) 박인범, 〈무애지국사의 모습〉 60
李詹, 〈畵像自贊〉(화상자찬) 이첨, 〈화상을 스스로 기린다〉 62
許穆, 〈百拙藏說〉(백졸장설) 허목, 〈백 가지 졸렬함 간직하고〉 64
李瀷, 〈四友銘〉(사우명) 이익, 〈네 벗〉 66
黃玹, 〈松川硯銘〉(송천연명) 황현, 〈송천 벼루〉 67
張維, 〈小箴〉(소잠) 장유, 〈작은 글〉 69
金富軾, 〈興天寺鍾銘〉(흥천사종명) 김부식, 〈흥천사 종〉 71
許穆, 〈墨梅〉(묵매) 허목, 〈먹으로 그린 매화〉 73
任聖周, 〈與舍弟?共〉(여사제치공) 임성주, 〈아우에게〉 75
許筠, 〈與西山老師〉(여서산노사) 허균, 〈서산 노스님께〉 77
李象靖, 〈書外別見〉(서외별견) 이상정, 〈책 밖의 식견〉 79
朴趾源, 〈與楚?〉(여초책) 박지원, 〈가시 망건 쓴 사람에게〉 81
徐敬德, 〈無絃琴銘〉(무현금명) 서경덕, 〈줄 없는 거문고〉 85
安鼎福, 〈破啞器說〉(파아기설) 안정복, 〈벙어리저금통〉 87
李德懋, 〈鐵杵〉(철저) 이덕무, 〈쇠공이〉 89
魏伯珪, 〈冬栢實〉(동백실) 위백규, 〈동백 열매〉 92
申欽, 〈檢身篇〉(검신편) 신흠, 〈허물〉 94
張維, 〈支離子自贊〉(지리자자찬) 장유, 〈지리한 녀석〉 97
金正喜, 〈箴妄〉(잠망) 김정희, 〈망상〉 100
李恒福, 〈恥辱箴〉(치욕잠) 이항복, 〈치욕〉 103
● 셋째
戒膺, 〈食堂銘〉(식당명) 계응, 〈식당에 붙인 글〉 106
成渾, 〈祭友人文〉(제우인문) 성혼, 〈친구 제문〉 109
李穡, 〈答問〉(답문) 이색, 〈물음에 답한다〉 112
洪大容, 〈乾坤一草亭題詠小引〉(건곤일초정제영소인) 홍대용, 〈하늘과 땅 사이의 초가 정자 하나〉 115
李穡, 〈自儆箴〉(자경잠) 이색, 〈스스로 경계하다〉 119
崔致遠, 〈寒食祭陣亡將士〉(한식제진망장사) 최치원, 〈전몰한 장병들에게〉 122
李穡, 〈觀物齋贊〉(관물재찬) 이색, 〈살펴서 아는 방법〉 125
曺好益, 〈射說〉(사설) 조호익, 〈활쏘기〉 129
金壽恒, 〈?兒七龍壙誌〉(상아칠룡광지) 김수항, 〈어린 아들을 묻으며〉 132
金時習, 〈環堵銘〉(환도명) 김시습, 〈담을 두르고〉 135
崔漢綺, 〈物我互觀〉(물아호관) 최한기, 〈물과 내가 서로 본다〉 139
黃俊良, 〈鋤銘〉(서명) 황준량, 〈호미〉 143
崔漢綺, 〈禽獸有敎〉(금수유교) 최한기, 〈짐승도 가르침이 있다〉 147
李奎報, 〈理屋說〉(이옥설) 이규보, 〈집수리〉 152
李詹, 〈雙梅堂銘〉(쌍매당명) 이첨, 〈쌍매당〉 155
鄭道傳, 〈竹窓銘〉(죽창명) 정도전, 〈대나무 창〉 160
李奎報, 〈接菓記〉(접과기) 이규보, 〈과일나무 접붙이기〉 165
尹?, 〈自作?文〉(자작뇌문) 윤기, 〈자작 추도사〉 171
許筠, 〈睡箴〉(수잠) 허균, 〈잠〉 176
● 넷째
丁若鏞, 〈曺神仙傳〉(조신선전) 정약용, 〈조신선전〉 182
權近, 〈月江記〉(월강기) 권근, 〈달과 강 시비〉 188
許穆, 〈伴鷗亭記 在臨津下〉(반구정기 재임진하) 허목, 〈임진강변 반구정〉 194
尹?, 〈剛柔說〉(강유설) 윤기, 〈강한 것과 부드러운 것〉 198
義天, 〈祭芬皇寺曉聖文〉(제분황사효성문) 의천, 〈분황사 원효성사 제문〉 203
金昌協, 〈雜器銘〉(잡기명) 김창협, 〈이런저런 기물〉 208
金萬重, 〈本地風光〉(본지풍광) 김만중, 〈진실의 모습〉 213
李鈺, 〈蟲之樂〉(충지락) 이옥, 〈작은 벌레의 즐거움〉 220
崔漢綺, 〈除?不通〉(제거불통) 최한기, 〈불통 제거〉 225
丁若鏞, 〈沙村書室記〉(사촌서실기) 정약용, 〈궁벽한 곳의 서당〉 231
● 다섯째
李建昌, 〈見山堂記〉(견산당기) 이건창, 〈산을 바라보는 집〉 241
權近, 〈舟翁說〉(주옹설) 권근, 〈늙은 사공〉 247
李山海, 〈雲住寺記〉(운주사기) 이산해, 〈운주사〉 254
張維, 〈筆說〉(필설) 장유, 〈붓 이야기〉 261
李奎報, 〈答石問〉(답석문) 이규보, 〈돌에게 대답한다〉 267
金昌協, 〈贈西僧玄素序〉(증서승현소서) 김창협, 〈관서 승려 현소에게〉 274
朴趾源, 〈孔雀?文稿自序〉(공작관문고자서) 박지원, 〈글쓰기〉 281
成侃, 〈?夫傳〉(용부전) 성간, 〈게으름뱅이〉 289
● 여섯째
金樂行, 〈織席說〉(직석설) 김낙행, 〈자리 짜기〉 296
李穀, 〈小圃記〉(소포기) 이곡, 〈작은 밭〉 303
李建昌, 〈兪?墓誌銘〉(유수묘지명) 이건창, 〈신 삼는 늙은이의 죽음〉 311
朴趾源, 〈百尺梧桐閣記〉(백척오동각기) 박지원, 〈백 척 오동 전각〉 318
李奎報, 〈問造物〉(문조물) 이규보, 〈조물주에게 묻는다〉 329
張維, 〈海莊精舍記〉(해장정사기) 장유, 〈농민과 함께〉 337
모아서 ● 349
글은 왜 쓰는가? 351
글을 어떻게 쓸 것인가? 360
마음을 잡아야 하는가? 363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369
무엇을 해야 하는가? 378
사람이라야 훌륭한가? 382
높고 강하면 자랑스러운가? 386
어떻게 탐구해야 하는가? 390
덧붙이는 논의 ● 400
끝말 ● 411
필자 소개 색인 ● 412
체크체크 교과서편 국어 중 2-1(천재 박영목)(2022)

도서명 : 체크체크 교과서편 국어 중 2-1(천재 박영목)(2022)
저자/출판사 : 천재교육 편집부, 천재교육
쪽수 : 374쪽
출판일 : 2021-09-01
ISBN : 9791125964575
정가 : 18500
갈래 특강
1. 문학 작품의 관점
01 엄마 걱정
02 동백꽃
2. 독서와 발표
01 읽기의 생활화
02 발표하기
3. 담화와 의사소통
01 담화의 개념과 특성
02 소통과 공감
4. 개성적인 발상과 표현
01 먼 후일 / 독은 아름답다
02 양반전
03 다양한 표현을 활용하여 글 쓰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