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시인들의 새로운 시선 또는 푸코와 장애의 통치
아리엘
2025-02-24 10:21
73
0
본문
젊은 시인들의 새로운 시선

도서명 : 젊은 시인들의 새로운 시선
저자/출판사 : 황치복, 고요아침
쪽수 : 382쪽
출판일 : 2020-12-21
ISBN : 9791190487771
정가 : 20000
제1부 혼돈의 언어와 이미지
제2부 의미의 해체와 관계들의 풍경
제3부 풍경의 발견과 그림자의 세계
제4부 마법의 힘과 창조적 상상력
푸코와 장애의 통치

도서명 : 푸코와 장애의 통치
저자/출판사 : 셸리 트레마인 엮음 · 박정수 , 임송이 번역, 그린비
쪽수 : 528쪽
출판일 : 2020-12-21
ISBN : 9788976826398
정가 : 29000
감사의 말·5
서문·11
서론_푸코, 통치성, 그리고 비판적 장애 이론-셸리 트레마인·21
I부_인식론과 존재론
주체화된 신체: 마비, 재활, 그리고 운동의 정치학-마틴 설리번·52
푸코의 유산·53 | 의료화된 신체, 의료화된 주체·56 | 입원: 의료권력에의 예속·58 | 거동 장애 다루기: 총체화 국면·62 | 유순한 신체 생산: 신체관리의 테크닉·65 | 의료권력과 저항·69 | 유순한 신체-주체: 신체 관리의 진행 중인 효과들·72 | 결론·74
이성의 기호들: 리비에르, 조력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주체의 위기-니르말라 에르벨스·76
이성의 시대 안에 있는 비일관성: 주체성의 위기·79 | “저자란 무엇인가?”: 조력 커뮤니케이션과 행위주체의 문제·85 | 결론: 침묵 너머를 보기·95
학습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돌봄 서비스의 진실, 권력, 그리고 윤리학-스콧 예이츠·101
지역사회 돌봄·102 | 푸코의 영향력·104 | 돌봄 서비스에 대한 ‘푸코적’ 분석·107
푸코적 분석은 장애 이론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나?-빌 휴스·117
푸코의 연구 영역: 감시받는 신체들·121 | 푸코의 살 없는 수동적 신체·126 | 결론에 부쳐·133
푸코의 유명론-베리 앨런·135
손상의 주입·135 | 지식과 권력·138 | 유명론·143 | 예속된 지식·147 | 담론과 신체·150
장애 입법: 부정적 존재론과 법적 정체성의 통치-피오나 쿠마리 캠벨·153
존재론 전쟁과 장애의 ‘사고 불가능성’·153 | 자유와 자율의 추방?- 비장애중심적 주체성의 재확립?·156 | 사회적 손상?-?위반의 수단인가? 재활 도구인가?·162 | 본질적으로 부정적인 장애?·166 | 장애를 택할 것인가, 택하지 않을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170 | 미국의 경험: 비장애중심주의와 미국 장애인법·172 | 결론: 존재론적 문제의 의제화·178
II부_역사들
유순한 신체, 유순한 정신: 정신지체에 관한 푸코적 성찰-리시아 칼슨·182
대항적 분석: 무수한 불화의 공간·186 | 양적 정의와 질적 정의·188 | 생산적이면서 보호적인 시설에서의 정태적 정의와 동태적 정의·191 |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197 | 우리 자신의 역사적 존재론: 정신지체의 재성찰·202
비범한 학교: 19세기 초반 미국, 농의 제도화-제인 버거·206
기형의 딜레마: 19세기에서 20세기 초반 파리에서의 비정상 인간에 대한 경찰통제와 기형학-다이애나 스니구로비치·229
III부_통치성
누가 정상인가? 누가 일탈자인가?: 유전 진단과 유전 상담에서의 ‘정상성’과 ‘리스크’-아네 발트슈미트·246
정상화 사회·249 | 유전학에서의 유동적 정상화·254 | 유전학 지향 도식의 주관적 해석·263 | 결론·265
배제된 학생을 위한 포함 교육: 예외적인 자들의 통치에 대한 비판적 분석-마르텐 시몬스 &?얀 마스켈라인·268
‘전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개인, 사회, 교육·270 | ‘학교 교육의 통치화’·273 | ‘포함 교육’과 ‘포함 사회’를 향하여·279 | 포함에 관한 담론·282 | 포함과 배제를 넘어서·287 | 결론·292
지원받는 삶과 개인의 생산-크리스 드링크워터·295
우리의 제도적 ‘타자’·295 | 권력과 개별성·297 | 지원받는 삶에서의 권력관계들·299 | 차이의 윤리학을 향하여·313
미국 스포츠 경기장에서 장애의
현실적 공간과 이상적 공간-캐럴린 앤 앤더슨·316
장애 담론·319 | 능력 있는 신체 관리자·324 | 유순한 신체로서의 무능한 신체·330 | 결론·334
푸코와의 통화: 장애와 통치의 이동성-제라드 고긴?&?크리스토퍼 뉴얼·335
푸코씨? 어디세요?·335 | 누가 모바일에 장애를 장착했는가?·339 | 통치, 장애, 모바일·346 | 능동적 시민권·348 | 통치와 그 너머·351
IV부_윤리학과 정치학
윤리적 프로젝트로서의 ‘포함’?-줄리 앨런·358
푸코의 윤리학과 포함·360 | 학계를 위한 윤리적 프로젝트·365 | 포함은 아직인가?·372 | 장애 학생들의 위반 돕기·373 | 포함은 우리 자신으로부터 출발한다·375
젠더 경찰-캐스린 폴리 모건·377
지시: ‘실화’ 키를 누르시오·377 | 지시: ‘젠더 유토피아’ 키를 누르시오·378 | 지시: ‘젠더 불안정’ 키를 누르시오·390 | 지시: ‘푸코’ 키를 누르시오·392 | 지시: ‘경찰’ 키를 누르시오·394 | 지시: ‘경계’ 키를 누르시오·397 | 지시: ‘트랜스젠더 정치학’ 키를 누르시오·398 | 지시: ‘종료’ 키를 누르시오·407
후주·409
참고문헌·467
글쓴이 소개·511
옮긴이 후기_장애인 운동의 연장통, 푸코 담론을 혁신하라·515
찾아보기·524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