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 국어 어휘 그리기. 1 또는 현대시조의 폭과 깊이
아리엘
2025-02-24 10:21
65
0
본문
중학 국어 어휘 그리기. 1

도서명 : 중학 국어 어휘 그리기. 1
저자/출판사 : 김진아, 교학사
쪽수 : 188쪽
출판일 : 2020-12-21
ISBN : 9788909544351
정가 : 11000
Ⅰ 문학
■ 어휘 구상하기
어휘 스케치하기 / 어휘 색깔 입히기
1강 시 ⑴ 감각적, 결실, 고약, 구천, 금방울, 까르르, 대구법, 동적, 맷방석, 보슬보슬, 부산하다, 비유
2강 시 ⑵ 생기, 성찰, 솔, 송죽, 순결, 시어, 심상, 아슴푸레, 알롱알롱, 에메랄드,
여우비, 열정
3강 시 ⑶ 운율, 윗목, 이상, 절개, 정형시, 조팝나무, 진눈깨비, 쨍그랑, 청강, 티끌,
함박눈, 함축
어휘 완성하기 / 어휘 전시하기
■ 어휘 구상하기
어휘 스케치하기 / 어휘 색깔 입히기
4강 소설 ⑴ 갈등, 감지덕지, 견제, 계면쩍다, 공상, 날품팔이, 남폿불, 도매상, 둥구미, 마름, 명분, 묘사
5강 소설 ⑵ 무논, 묵사발, 비범하다, 빈사지경, 서술자, 소작, 시점, 실마리, 쌩이질, 얼김, 얼레빗, 연민
6강 소설 ⑶ 육친애, 을씨년스럽다, 인물, 자초지종, 잠방이, 총명, 하릴없이, 해소, 허구, 혐오감, 혹사, 활동사진
어휘 완성하기 / 어휘 전시하기
■ 어휘 구상하기
어휘 스케치하기 / 어휘 색깔 입히기
7강 극 내레이션, 명약, 무대, 뽀르르, 상연, 상영, 심심산골, 오호통재, 제약,
지시문, 효과음, 희곡
8강 수필 개성적, 가치관, 수필, 망망대해, 망연자실, 북돋다, 불현듯, 비전문적,
사방치기, 소외감, 신변잡기적, 일화
어휘 완성하기 / 어휘 전시하기
Ⅱ 비문학
■ 어휘 구상하기
어휘 스케치하기 / 어휘 색깔 입히기
9강 설명문 ⑴ 가령, 객관적, 국한하다, 규정, 낙천적, 단정하다, 대안, 대조, 대체하다, 명백, 문맹, 반면
10강 설명문 ⑵ 배제하다, 백미, 부합하다, 비효율, 사명감, 석빙고, 설명문, 양면성,
예시, 예측, 요약, 유빙
11강 설명문 ⑶ 이질적, 이해, 인공, 전제, 절묘하다, 주도하다, 지향, 체계성, 추진력,
포획, 획일적, 희귀하다
어휘 완성하기 / 어휘 전시하기
■ 어휘 구상하기
어휘 스케치하기 / 어휘 색깔 입히기
12강 논설문 ⑴ 가속화, 개발하다, 고갈되다, 공익성, 근거, 기하급수적, 냉전, 노천, 논설문, 논증, 도표, 미지
13강 논설문 ⑵ 방안, 배경지식, 보존, 보편적, 부산물, 비판적, 사회적, 살충제, 생존, 설득적, 시사 평론, 신뢰성
14강 논설문 ⑶ 오롯하다, 외면, 유해, 의도, 일관성, 일목요연하다, 장기적, 제한,
주관적, 주장, 타당하다, 환기
어휘 완성하기 / 어휘 전시하기
Ⅲ 듣기ㆍ말하기/쓰기/문법
■ 어휘 구상하기
어휘 스케치하기 / 어휘 색깔 입히기
15강 듣기 · 말하기 / 쓰기 개요, 공감, 면담, 사회 관계망 서비스, 생성, 심포지엄,
언어폭력, 온라인 대화, 초고, 타당성, 토의, 통일성
16강 문법 ⑴ 감탄사, 고유어, 관형사, 대명사, 동사, 명사, 부사, 사회성, 수사, 수식언, 역사성, 외래어
17강 문법 ⑵ 용언, 유행어, 은어, 자의성, 전문어, 조사, 창조성, 체언, 표준어, 품사, 한자어, 형용사
어휘 완성하기 / 어휘 전시하기
Ⅳ 한자성어/속담/관용어/맞춤법
■ 어휘 구상하기
어휘 스케치하기 / 어휘 색깔 입히기
18강 한자성어 각주구검, 감언이설, 결초보은, 다다익선, 동문서답, 새옹지마,
설상가상, 수구초심, 어부지리, 우공이산, 적반하장. 점입가경,
정저지와, 청출어람, 타산지석, 풍전등화, 형설지공, 호가호위
19강 속담 개발에 편자, 고생 끝에 낙이 온다, 금강산도 식후경,
남의 잔치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도둑이 제 발 저리다,
마른하늘에 날벼락,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이 난다,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 태운다,
세 살 적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 쥐구멍에도 볕 들 날 있다,
티끌 모아 태산
20강 관용어 감투를 쓰다, 귀가 빠지다, 귀가 얇다, 귀에 못이 박히다, 눈 밖에 나다, 눈에 밟히다, 눈에 불을 켜다, 눈에 차다, 색안경을 쓰다,
엉덩이가 근질근질하다, 죽을 쑤다, 첫 단추를 끼우다, 코가 높다,
코(가) 빠지다, 파김치(가) 되다, 허리띠를 졸라매다
21강 맞춤법 강낭콩 vs 강남콩, 개구쟁이 vs 개구장이, 금세 vs 금새,
깨끗이 vs 깨끗히, 며칠 vs 몇일, 뵈다 vs 봬다, 봬요 vs 뵈요,
삼가다 vs 삼가다, 설거지 vs 설겆이, 설렘 vs 설레임, 아귀 vs 아구,
어떡해 vs 어떻해, 어이없다 vs 어의없다, 연예인 vs 연애인,
오뚝이 vs 오뚜기, 웬 떡이야 vs 왠 떡이야, 육개장 vs 육개장,
으레 vs 으례, 지푸라기 vs 지푸래기, 천장 vs 천정, 할게요 vs 할게요
■ 쪽지 시험
1강 시 ⑴ 2강 시 ⑵ 3강 시 ⑶
4강 소설 ⑴ 5강 소설 ⑵ 6강 소설 ⑶
7강 극 8강 수필
9강 설명문 ⑴ 10강 설명문 ⑵ 11강 설명문 ⑶
12강 논설문 ⑴ 13강 논설문 ⑵ 14강 논설문 ⑶
15강 듣기·말하기 / 쓰기 16강 문법 ⑴ 17강 문법 ⑵
18강 한자성어 19강 속담 20강 관용어
21강 맞춤법
■ 한자쓰기
1강 시 ⑴ 2강 시 ⑵ 3강 시 ⑶
4강 소설 ⑴ 5강 소설 ⑵ 6강 소설 ⑶
7강 극 8강 수필
9강 설명문 ⑴ 10강 설명문 ⑵ 11강 설명문 ⑶
12강 논설문 ⑴ 13강 논설문 ⑵ 14강 논설문 ⑶
15강 듣기·말하기 / 쓰기 16~17강 문법
■ 정답과 해설
현대시조의 폭과 깊이

도서명 : 현대시조의 폭과 깊이
저자/출판사 : 황치복, 고요아침
쪽수 : 422쪽
출판일 : 2020-12-21
ISBN : 9791190487764
정가 : 20000
제1부 현대시조의 토대, 혹은 정점
제2부 현대시조의 사상의 폭과 깊이
제3부 여성 시조시인의섬세한 정서와 언어 미학
제4부 현대시조의성취와 가능성
댓글목록0